본문 바로가기

한국 현대건축

나만을 위한 집짓기의 꿈 (2013.3.26) 나만을 위한 집짓기의 꿈 중앙일보, 2013.3.26. 오피니언, [삶의 향기] http://joongang.joinsmsn.com/article/842/11037842.html 아파트 한 채 장만하려 전전하는 도시 유목민이여 육아, 교육, 먹거리 구매 함께하는 '코하우징'도 있다 집짓기 바람이 불고 있다. 요즈음 서점의 건축 코너 절반을 집짓기 책이 차지한다. 집은 물질 덩어리 건축물과는 다른 나만의 정처(定處)라는 뜻을 함의한다. 떠돌다가 지치면 돌아가고 싶은 곳이다. 그리고 나와 가족의 삶이 배어있는, 남들 것과 다르게 생긴 곳이 집이다. 그래서 집을 말할 때 아파트와 연립주택보다는 뾰족한 경사지붕의 단독 주택을 떠올린다. 그게 우리 심상에 남아 있는 집의 원형(原型)이다. 건축가라면 누구나 한번쯤.. 더보기
또 다른 ‘서울해법’ Seoulutions (2013.2.26) 또 다른 ‘서울해법’ Seoulutions 중앙일보, 2013.2.26. 오피니언, [삶의 향기] http://joongang.joinsmsn.com/article/900/10784900.html 합법과 편법 사이를 줄타기하는 기지(機智)의 건축 서울의 일상 풍경엔 역동성과 잠재력이 있다 우리 대학에서 1년을 지내고 암스테르담으로 돌아간 네덜란드 건축가가 그곳에서 책을 냈다. 네덜란드는 현재 세계 건축의 흐름을 주도하는 나라다. 책 제목은 서울(Seoul)과 해법(Solution)을 합성한 『서울해법(Seoulutions)』이다. 한 손에 잡히는 포켓북이지만 네덜란드 학자와 전문가들 사이에서 좋은 반응을 얻고 있고, 스위스 건축대학에 초청을 받아 특강까지 했다고 한다. 그는 서울에서 토박이처럼 살았다. .. 더보기
‘공간’ 사옥이 위태롭다 (2013.1.29) ‘공간’ 사옥이 위태롭다 중앙일보, 2013.1.29. 오피니언, [삶의 향기] http://joongang.joinsmsn.com/article/331/10539331.html 전통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김수근의 걸작 한국 현대건축의 산실, 공공자산으로 만들자 창덕궁과 현대그룹 사옥 사이에는 지나치기 쉬운 건물이 하나 있다. 검은 벽돌과 담쟁이덩굴로 뒤덮인 과묵한 건물은 왠지 그 자리를 지키기 버거워 보인다. 바로 옆에는 14층 현대빌딩, 길 건너편에는 가든타워와 매끈한 삼성래미안 갤러리가 버티고 있다. 반면 이 건물은 율곡로에서 저 만치 물러나 벽을 보고 돌아앉아 있다. 꼭대기에 붙어있는 ‘空間 SPACE’라는 흰 글자만이 자신의 정체를 알릴 뿐이다. 건축가 고(故) 김수근이 설계한 공간건축 사옥이다.. 더보기
Book Review : Future Asian Space (2013.1.17) Future Asian Space by Singapore Review of Books January 17, 2013 http://singaporereviewofbooks.org/2013/01/17/future-asian-space/ Sung Hong KIM, “The Paradox of Public Space in the Korean Metropolis,” In Limin Hee, Boontharm Davisi, and Erwin Viray Eds, Future Asian Space: Projecting the Urban Space of New East Asia, Singapore: NUS Press, 2012. By Jia-Ching Chen, PhD Candidate in City & Regional.. 더보기
Architecture and Urbanism in an Era of Economic Uncertainty (2012.12.21) Architecture and Urbanism in an Era of Economic Uncertainty International Symposium, “Who will the Architect be in 2025?”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Arts, December 21, 2012 The Korean word for ‘modern,’ keundae, was borrowed from Japanese and as such is conceived by Koreans as something ambiguous. While it represents enlightenment, civilization and urbanity, it also brings to mind subordinatio.. 더보기
길모퉁이 건축 : 건설한국을 넘어서는 희망의 중간건축 (2011.11.5 출간) * 선정 2011 올해의 책 왜 우리 도시는 이렇게 차갑고 숨 막히는가? 길모퉁이에 삶과 경제, 문화가 공존하는 건축을 짓자! 개발과 성장의 ‘건설 신화’, 치장과 과잉의 ‘디자인 경제주의’를 넘어 사람과 문화를 품는 도시 건축을 만들어가는 구체적인 대안 YouTube http://www.youtube.com/watch?v=9pkltiExg4A 오랜 현장 탐사, 너른 인문적 탐구, 균형 잡힌 시각으로 지은 건축인문학 역작! “한국 건축은 지금 심한 몸살을 앓고 있다. 한국 경제를 떠받쳐 오던 건설신화가 서서히 걷히면서 경제의 양극화와 함께 건축에서도 역시 양극화가 진행되고 있다. 경제양극화가 중산층을 붕괴시키듯 건축의 양극화는 도시의 중간지대를 질식시킨다. 골목길은 재개발을 기다리고, 허름한 소규모의 건.. 더보기
공공건축, 시민의 품격이다 (2011.10) 공공건축, 시민의 품격이다 중앙일보, 2011.10.18, 오피니언, [삶의 향기] http://joongang.joinsmsn.com/article/627/6441627.html 몇 년 전 직항로가 열리면서 핀란드의 수도 헬싱키는 한국에서 가장 가까운 유럽의 관문이 되었다. 시벨리우스가 작곡한 ‘핀란디아’의 배경이었던 호수와 숲, 세계 휴대폰 시장을 장악했던 노키아가 떠오를 뿐, 발트 해 끝자락에 있는 핀란드는 우리에게 아주 먼 나라였다. 그런데 핀란드에는 시벨리우스와 노키아 못지않게 온 국민이 자랑하는 알바 알토라는 건축가가 있었다. 길거리 누구에게 물어도 알고 있는, 우리나라의 이순신 장군쯤 되는 사람이다. 알토를 국제적 반열에 올린 작품은 시청사, 도서관, 공립병원, 공립대학, 음악당, 연금공단,.. 더보기
역사를 통해, 현실을 읽고, 미래를 본다 역사를 통해, 현실을 읽고, 미래를 본다. 김성홍 건축 도시 연구실 서울시립대학교 건축․도시 공간과 이에 담긴 사회․문화 현상을 관찰하고 해석한다. 건축이론과 역사에서 주류를 이루는 조형예술론, 작가론, 기능주의, 기술효용주의, 통시적 역사관이 미치지 못하는 중간지대에서 도시 건축의 새로운 대안을 찾는다. 한국 근현대건축에 내재하는 집합적 건축․도시 모폴로지를 연구하고 이를 통하여 건축의 공공성을 모색한다. 연구실의 팀워크를 통해 건축․도시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이론과 연구를 현장으로 연결한다. 02504 서울시 동대문구 서울시립대로 163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 건축학부 02-6490-2774/ 02-6490-2749 (Fax) shkim@uos.ac.kr http://sonomad.tistory.com 더보기
건축도시연구실 일반대학원 (석사)윤한섭 (2001). 테헤란로 고층사무소 건축의 저층부에서 나타나는 공공공간에 관한 연구.김종문 (2001). 수료장용태 (2002). 日帝强占期 南大門路 일대의 백화점 건축에 관한 연구. 양행용 (2003). 1970-80년대 서울의 아파트단지 노선상가에 관한 연구.채호경 (2003). 개항이후 인천 청국조계지의 주택 및 상업 건축에 관한 연구.김기성 (2003). 1890-1910년대 천주교 교회의 도시건축적 특성에 관한 연구. 김승희 (2004). 1920~40년대 경성역사(京城驛舍) 건축에 관한 연구. 설정임 (2004). 서울도심의 복합영화관 건축에 관한 연구. 정석현 (2005). 조선은행건축의 내외부공간구성에 관한 연구.방세환 (2006). 2000년대 이후의 수도권 주상복.. 더보기
도시 건축의 새로운 상상력 도시 건축의 새로운 상상력 우리 도시 건축의 방향성을 모색하다 지난 50년간 우리 도시와 건축은 각자 다른 방향으로 달려왔다. 평면적 도시 계획과 입체적 건축 설계가 별개였다. 도시계획가는 땅을 넓히는 데, 건축가는 그 땅에다 집을 짓는 것에 급급했다. 서양에서 따로 배워 온 도시학과 건축학을 융합할 여유도 역량도 없었다. 경제성장을 이룬 지금, 양이 질을 압도하는 서울에서 땅값, 용적률, 개발 이익 등 돈으로 환산되는 진부한 공간이 도시의 경관을 좌지우지하고 있다. 좋은 도시에는 다양한 삶을 수용하는 다양한 형태의 건축이 있다. 그러나 모양이 다른 건축이 많다고 해서 좋은 도시가 되지는 않는다. 이탈리아 피렌체가 아름다운 것은 위용을 자랑하는 성당의 첨탑 뒤에 규칙적인 붉은 집이 있기 때문이며, 서울의..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