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onomad의 글쓰기

Architectural Challenges in a City of Collectivism (집단주의 도시에서의 건축도전) (2019.11.7)

Architectural Challenges in a City of Collectivism”

집단주의 도시에서의 건축 도전

In Collective City, 2019 Seoul Biennale of Architecture and Urbanism,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2019, pp.66-73.

Cities are collective by nature. Lewis Mumford defined the city as “a geographical plexus, an economic organization, and an institutional process, a theater of social action, and an aesthetic symbol of collective unity.”[i] In short, Mumford sees the city as a collective unit consisting of physical, economic, social and aesthetic components. Today’s larger cities, however, tend to house a number of discrete collective units, wherein the city as a whole is not necessarily collective. All around the world, contemporary cities are becoming more fragmented spatially, divisive politically, stratified economically and socially. ‘Collective City,’ the theme for the 2019 Seoul Biennale of Architecture and Urbanism (SBAU) proposed by co-curators Jae Yong Lim and Francisco Sanin, is in this sense a beacon call for collective action towards more inclusive and unified cities. The sub-title, ‘reclaiming the city redefining architecture,’ casts the role of architecture as “an agent of the political and cultural project” that addresses this urban crisis.

I moderated ‘Urban Futures: Living in the Inner City,’ the kick-off keynote forum of UIA 2017 Seoul. [ii] The premise was that living and working with different people in the inner city is more and more important to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vitality. ‘Imminent Commons,’ the theme for the first SBAU in 2017, curated by Hyungmin Pai and Alejandro Zaera-polo, also maintains that the protection and extension of ‘urban-ness’ and ‘urban commons’ is the major challenge for future cities. The theme for the 2020 Venice Architecture Biennale, ‘How will we live together?’ proposed by Hashim Sarkis again calls for a “spatial contract” devised by architects who imagine and create spaces that we can live in together.

How should we look at the common trends in recent international biennials, forums, symposiums, and exhibitions? Is it because the idea of the city, public, sharing, and commonness are appropriate for interdisciplinary events that require big thematic umbrellas under which everything can fit nicely together? Or is it because architecture is increasingly marginalized in the urban crisis, such that the scope of architecture needs to be strategically extended?

Ultimately it is architects who make the city visible and tangible. No matter how expanded the scope and role of architecture is, what an architect can do best is deal with the physical. Architects are called on to ameliorate urban inequality through planning and design. Ironically, though, architects’ interventions are often viewed as antithetical to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equity. Many new buildings spark gentrification of the urban center that forces the lower and middle classes to move to the peripheries because of the changes in property ownership, real estate speculation and development, and skyrocketing rents. The urban sprawl makes people commute further for work in the inner city, as those workers are alienated from the cultural benefits of the new architecture. Large-scale development creates urban enclaves only for the higher middle or upper classes. The ‘high-end’ design is appealing to entrepreneurs and politicians who exploit the symbolic power to entice economic activity and refine their political agenda. There appears to be little opportunity for architects to actively take part in shaping policy and changing the spatial fabric of cities. Their influence varies depending on the region, nation-state, and city. The first step for architects, if they are to exert more influence, is to understand what obstacles and discrepancies exist that impede the collective in specific settings and contexts.

Seoul, the venue of the SBAU, is the quintessential Korean city in that it portrays the contemporary Korean psyche. Physically it is characterized by a paradoxical combination of heterogeneity in its urban morphology and homogeneity in its architectural typology. Sociologically, it is characterized by a paradoxical coalescence of ‘collectivism’ and ‘egotism’, according to Jung Ji Woo’s ‘Angry Society’ (Bunno Sahoe).[iii] It is understood that collectivism prioritizes the group over the individual.  The origin of the notion goes back to German sociologists, most notably Ferdinand Tönnies and Max Weber. In a slightly different line of thought, sociologist Basil Bernstein distinguishes the two types of language codes in a socio-linguistic setting: a ‘restricted code’ is found in a narrow community, whereas an ‘elaborated code’ is found in a society which values individuality.[iv] Most recently, the psychologist Geert Hofstede’s ‘cultural dimension’ theory on collectivism vs. individualism echoes the two models and codes of socio-cultural groups.[v]

What Jung Ji Woo’s ‘Angry Society’ rightly pointed out is that contemporary Korean society is an amalgam of two opposing value systems, collectivism and egotism. Jung argues that for the last 100 years collectivism has been reinforced in South Korean society combined with strong nepotism based on region, school and kinship connections. It dominates every sphere: political, bureaucratic, and academic circles as well as private enterprises. Whereas selfishness is confused with the rights of an individual, the collectivist culture is confused with communal goods.

The Korean word for ‘public’ is gong-gong. In ancient Chinese, the first ‘gong (公) means ‘openness’ and the second ‘gong (共)’ does ‘togetherness’ or ‘sharing’. But the second-word ‘gong (共)’ is also used to describe Communism (共産主義). During South Korea’s era of military dictatorship from the 1960s to the 1980s, the government took advantage of anti-communist sentiment as a tactic for the suppression of political adversaries. In South Korea, anti-communist and anti-socialist sentiments (the so-called ‘red complex’) are ever-present, making the perception of ‘public’ even more controversial and value-charged.[vi]

One of the misused and contaminated terms in planning and design is ‘community.’ It is a social unit in physical or virtual space where people feel a sense of belonging, sharing and relatedness. But the community is often understood as a group bonded by commonness rather than differences in a way that creates a strong physical and psychological enclosure. It is close to the ‘mechanical solidarity’ defined by Emile Durkheim. Jung Ji Woo argues that the strongest communities in South Korea are the ones affiliated with churches and upscale apartment homeowners’ associations. In architectural and urban design competitions, it is no surprise to see that the premise behind allocating open space between buildings, complexes, and urban blocks is usually to create communal spaces where people gather and interact. In reality, meticulous and tacit strategies are employed to make stronger and sharper communal boundaries which shut out other groups. This consolidates collectivism and egotism together.

Seoul’s experiments and challenges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has adopted a system of city architects and public architects and promoted important public projects through international design competitions.[vii] The DDP by Zaha Hadid and Seoullo 7017 by MVRDV are prime examples. Despite the controversy and criticism over the interpretation of the historic site and the excessive construction costs, the DDP has become a must-visit public place in Seoul. It is the main venue for the SBAU.  Seoullo 7017 or Skygarden is also on the list of many visitors. Conceived as Seoul’s version of New York’s Highline, it renovated the former elevated overpass over Seoul Central Railway Station. Retailers, vendors and hence local politicians opposed the plan at the beginning, but it has gradually fit into the city fabric and become a new type of urban space in Seoul.

But other experiments have been confronted with greater challenges. The DDP and Seoullo 7017 are solely on public properties with clear lines of demarcation from private properties. However large-scale projects on private lands have either come to a halt or are in a deadlock. The Sewoonsangga, the earliest urban architecture in the heart of Seoul, and its adjacent areas, are at the center of controversy now. Since mid-1990, succeeding mayors of Seoul had different visions for revitalizing the Sewoonsangga areas. In 2004, an international competition for the largest redevelopment projects invited Koetter Kim, Richard Rogers, Machado and Silvetti, JERDE, Rem Koolhaas, Peter Eisenman, von Gerkan, Terry Farrell, and other renowned architects. Cooperating with seasoned local corporate firms, they proposed audacious ideas to replace the old irregular urban fabric of the city. Yet all the proposals that received the spotlight never got beyond the drawing board. The abandonment of projects, and the subsequent process and changes, were so complicated that even experts had a hard time grasping them. Another international competition for a reduced block of Sewoonsangga was implemented again in 2016, and the winning proposal by KCAP has been modified continually through various processes up until today. It is still hard to predict whether the project will be carried out as designed.

The only realized project is a walking deck attached to both sides of the existing Sewoon Mall, but the adjacent areas remain without a plan other than demolition or negligence. Recently, the city government hastily suspended the redevelopment project initiated by private developers.  The rationale behind this was that old shops and restaurants must be preserved as a living heritage. The notion that redevelopment is evil and preservation is good certainly makes discussions and decisions on alternative plans more complicated.

Apartment Complexes and Public Housing

The most difficult and important challenge in making Seoul more of a collective is in the planning and design of mass apartment complexes. International design competitions for the reconstruction of Jamsil Apartment Complex 5 that rests on 358,000 square meters, and the redevelopment of the ‘104 Village’ on a hilly 187,000 square-meter site are cases in point. They demonstrate how architects' attempts to introduce any kind of new and meaningful design elements can be vulnerable to being rejected. The implementation of the winning design schemes was blocked for one reason or another by landowners, developers, local politicians, city officials, and planning agencies. The experimental site plans and unit plans proposed by architects were not accepted because landowners and homeowners are convinced that designs deviating from the established market stereotypes would diminish their profits. The visual and verbal language used by architects sounded naïve and even irrelevant to them. While architects may be free to make a few symbolic urban buildings here and there, they are marginalized when it comes to making changes that enhance the overall quality of the city itself.

The contradiction and confusion between collectiveness against collectivism are deeper in public housing. With the establishment of special legislation in 2015 the public housing program launched an effort to supply long-term rental housing for low-income earners. The government intended to reduce the intra-urban gap by distributing affordable social housing throughout the city. The best tool for boosting development is to grant extra floor area ratios, the most direct incentive to promote higher return-on-investment. Research has shown that public housing received less opposition in the less wealthy areas because more than half of the original households move out after construction. The result is that the high-density public housing units are built more in areas with poor infrastructure. The opposition to public housing is stronger in affluent areas because a higher ratio of original residents stays after the construction. Less dense, higher quality housing is built, with an enhanced infrastructure inside and outside of the complex. The complex itself is separated from the outside by strong physical boundaries and anti-street frontages of buildings. The solidarity of this community is stronger, and so is the NIMBY attitude. Contrary to the city government’s intentions, public housing programs go disproportionately more into the disadvantaged areas than those with better infrastructures.[viii] Symptoms of social inequality are clearly manifested in the discontinuities of the spatial fabric of the city.

The Interface of Polarized Scales

The construction industry has been a driving engine of South Korea’s economic growth for the past several decades. As of 2016, the ratio of the construction investment to GDP was 15 percent, which is 5 percent higher than the average for OCED countries. In the early 1990s, when it peaked, the ratio was as high as 23 percent.[ix] The investment ratios of the private sectors have been up and down based on economic fluctuation, but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continue to invest public money to keep the ratio from falling. The city of Seoul, home to a quarter of the entire population of South Korea, led the institution of top-down planning and construction policies until the global economic crisis of 2008, when the paradigm began to shift from massive development to incremental regeneration. The architects who concentrate on the design of the plot-based individual buildings have remained on the edge of these changes.

The average plot size in Seoul is 250 square meters, but there are many small and irregular plots less than 100 square meters within the downtown and surrounding hilly areas. On the other hand, the newly constructed apartment complexes are over 100,000 square meters. There are very limited number of innovative buildings on the intermediate scale of blocks. The paradoxical combination of collectivism and egotism is deeply embedded in the polarization of urban morphologies and building typologies.

Individuals living in small and irregular urban plots, where strict and complicated rules are applied, take either defensive or aggressive attitudes towards neighbors to avoid conflicts. On the other hand, when these plots are turned into complexes hundreds of times the size, individuals are incorporated as anonymous members of a collectivist community. Neighborhoods or places with distinct but open boundaries and a sense of belonging are diminishing. Between the fine urban grain and homogenized territories, there are not many choices. An urban morphologist observed the urbanism of pluralism and openness in the dense and connected urban fabric of Seoul.[x] The key issue of planning and design is how to deal with the interface of the increasingly polarized and fragmented scales of development.

Design over Constraints

Those who view architecture as an autonomous entity may consider laws and guidelines to be constraints or even obstacles to innovation. However, they overlook the fact that small details in articles, paragraphs, or subparagraphs of an act can have huge impact on the macro urban landscape as well as micro building design elements. In the hyper dense city of Seoul, the vertical, spatial and programmatic configuration, the window, balcony, and facade, the apartment unit and site plan, and even the street layout are directly related to the urban and building laws and rules. This is part of the reason why new experimental housing schemes are locked in conflicts between architects, planners, development agencies, and markets. Design innovation for a more diverse, inclusive and sustainable city will not be easy without overcoming the constraints of laws. Regulations and systems hold a threshold for design. A few promising changes in the laws, rules, and guidelines could alter the fundamental design premise which might become a ‘trigger’ for innovation.

Over and above problem-solving, design is essentially integration. And design solutions are “not produced at the latter stage of a process of analysis and synthesis, but right at the early stages of a process of conjecture and testing.”[xi] Between these two modes of thinking, there is a gap. If we use Quatremere de Quincy and Giulio Argan’s typological theories, the moment of “comparison and overlapping of certain formal regularities” and the moment of “formal definition” are distinguished from one another.[xii] Design is the process of passing through the tunnel that connects these two discrete stages. What enters the tunnel is quite different from what exits the tunnel. It cannot fully be explained rationally. Solving this puzzle is the nature and power of design expertise.

When we shift the scale from architecture to city, we face another dimension of differences. The question becomes how to reconcile the external urban forces and internal architectural principles. Architectural design is endogenous, and urban planning is exogenous. Urban planning is more about the process of reaching social consensus and rules rather than formulation. It is incumbent upon architects to get away from the aesthetic baggage of individual buildings, recognize the shortcomings of the current system of regulations, and elbow their way into the decision-making processes.

While the work of high-end architects on the individual plots in Seoul is characterized as a “collection of idiolects,” the ordinary buildings of everyday life erected by anonymous local builders are seen as a “collective vernacular” in the eyes of visitors.[xiii] Cities cannot thrive as true collectives where there is a fundamentally individualistic approach to architecture. Architects need to operate through a systematic approach, with complex strategies and knowledge capable of integrating and fostering relationships between interdisciplinary competences. The city needs multifaceted and flexible professionals who have a different approach, tactic, and language to cross boundaries and to communicate with others. Now Seoul desperately needs to become the work of architectural bricoleurs.

[i] Lewis Mumford, “What is a City?” In Richard T. LeGates and Frederic Stout, Eds., The City Reader, 2nd Edition, London and New York: Routledge, 2000, p.94 (originally In Architectural Record, 1937)

[ii] “Urban Futures: Living in the Inner City – Regenerating Urban Architecture for Cohesion and Sustainability,” Keynote Forum 1, Cristiane Muniz, Wilfried Wang, John Peponis, and Sung Hong Kim, September 4, UIA 2017 Seoul World Architects Congress, Program Book, 2017, p.37.

[iii] Jung Ji Woo, Bunno Sahoe [Angry Society] (in Korean), Ikyung, 2014.

[iv] Basil Bernstein, Class, Codes, and Control: Vol 3, London, 1975.

[v] Geert Hofstede, Culture's consequences, Beverly Hills: Sage, 1980.

[vi] Sung Hong Kim, “The Paradox of Public Space in the Korean Metropolis,” In Limin Hee, Boontharm Davisi, and Erwin Viray Eds, Future Asian Space: Projecting the Urban Space of New East Asia, Singapore: NUS Press, 2012.

[vii] https://project.seoul.go.kr

[viii] Sung Hong Kim, "High Density Dilemmas: Apartment Development vs. Urban Management Plan in Seoul," Seoul Studies, (The Seoul Institute), Vol.19, No.4. December 2018, pp.1-19.

[ix] The Bank of Korea, BOK Issue Note, No 2016-7, p.3.

[x] John Peponis, et. al. “The City as an Interface of Scales: Gangnam Urbanism,” In Sung Hong KIM et. al. Eds. The FAR Game: Constraints Sparking Creativity, SPACE Books, 2016, 102-111.

[xi] John Peponis, "Evaluation and Formulation in Design." In Nordisk Arkitekturforskning (Nordic Journal of Architectural Research), n.2, 1993, p.53, 57.

[xii] Rafael Moneo, “On Typology”, In Peter Eisenman (ed.), Oppositions, Summer 1978:13, The MIT Press, 1978, p.36.

[xiii] Julian Worrall, “The Nakwon Principle,” In KIM et al. (eds.), The FAR Game: Constraints Sparking Creativity, 147.

 

집단주의 도시에서의 건축 도전

* 다음은 영문 원본을 한국어로 번역한 글입니다.

도시는 본질적으로 집합적(collective)이다. 루이스 멈포드(Lewis Mumford)는 도시를 “지리적 네트워크, 경제적 조직, 제도적 프로세스이자, 사회적 행동이 펼쳐지는 극장이며, 집합적 결속(collective unity)의 미학적 상징”이라고 정의하였다.[i] 즉, 멈포드는 도시를 물리적, 경제적, 사회적, 미학적 요소로 구성된 집합 단위(collective unit)로 보았다. 하지만 오늘날의 대도시는 수많은 이질적 집합 단위를 수용하고 있으며, 이 점에서 도시가 반드시 집합적인 것은 아니다. 전 세계적으로, 현대 도시들은 공간적, 정치적으로 분열되고 있으며 경제적·사회적으로 계층화되고 있다. 이런 의미에서 제2회 2019 서울도시건축비엔날레(SBAU)의 공동감독인 임재용과 프란시스코 사닌(Francisco Sanin)이 제안한 주제 ‘집합도시(collective city)’는 더 포괄적이고 통합된 도시를 향한 집합적 행동(collective action)을 촉구한다. ‘도시를 되찾고, 건축을 재정립한다(reclaiming the city redefining architecture)’는 부제는 건축의 역할이 이러한 도시 위기를 다루는 ‘정치적, 문화적 프로젝트의 대리인(an agent of the political and cultural project)’이라고 제시하고 있다.

나는 UIA 2017 서울세계건축대회 기조 포럼인 ‘도시의 미래: 도시 안에서 살아가기(Urban Futures: Living in the Inner City)’ 를 기획했다.[ii] 도심에서 다른 사람들과 거주하고 일하는 것이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활력을 위해 점점 더 중요하다는 것을 포럼의 전제로 삼았다. 배형민과 알레한드로 자에라-폴로(Alejandro Zaera-polo)가 공동감독을 맡은 제1회 2017 SBAU 주제인 ‘공유도시(Imminent Commons)’는 ‘도시성(urbaneness)’과 ‘도시 공동성(urban commons)’을 유지하고 확장하는 것이 미래 도시의 중요한 도전이라고 보았다. 또한 2020년 베니스비엔날레 건축전 총감독 하심 사르키스(Hashim Sarkis)가 제안한 주제 ‘우리는 어떻게 같이 살아갈 것인가(How will we live together?)’는 더불어 살 수 있는 공간을 상상하고 구축하는 건축가들에게 ‘공간계약(spatial contract)’을 다시 요구하고 있다.

최근 이와 같은 비엔날레, 포럼, 심포지엄, 전시회 등의 공통된 흐름을 어떻게 봐야 할 것인가? 도시, 공공(public), 공유(sharing), 공동성(commonness) 등에 대한 개념들이 모든 것을 적절히 포괄할 수 있는 상위 주제로 적절하기 때문인가? 아니면, 도시 위기와 관련해 건축가들의 입지가 좁아지고 있는 상황에서 건축의 범위를 전략적으로 확장할 필요가 있기 때문인가?

도시를 가시화하고 실체화하는 것은 궁극적으로 건축가가 하는 일이다. 건축의 범위나 역할의 폭이 아무리 넓어도, 건축가가 가장 잘 할 수 있는 것은 물리적인 것을 다루는 일이다. 건축가들이 계획과 디자인을 통해 도시 불평등을 개선하리라는 기대가 있지만, 아이러니하게도 건축가들의 개입은 종종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평등과 상반되는 결과를 초래한다. 새로운 건물들은 도심지의 젠트리피케이션(gentrification) 현상을 촉발시키며, 이로 인해 중하위 계층들은 재산권의 변화, 부동산 투기 및 개발, 치솟는 임차료 등의 이유로 도시 변방으로 밀려난다. 도시 확산(urban sprawl)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도심에서 더 먼 외곽에서 출퇴근하게 되며 새로운 건축물이 주는 문화적 혜택으로부터 소외된다. 반면 대규모 개발은 중상층만을 위한 도심 속 거주지를 만들어낸다. 하이엔드(high-end) 디자인은 상징권력(symbolic power)을 이용하고자 하는 기업가와 정치인에게 경제적 이익과 정치적 의제를 가져다 주기 때문에 매력적이다. 하지만 건축가가 도시 정책을 만들고 도시의 공간적 구조를 변화시키는데 참여할 기회는 많지 않다. 지역, 국가, 도시에 따라 다르지만 건축가가 더 많은 영향력을 행사하고자 한다면, 구체적인 배경과 맥락 속에서 집합성(collective)을 방해하는 어떠한 장애물과 격차가 있는지 이해하는 것이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이다.

서울비엔날레의 개최지인 서울은 현대 한국인들의 정신(psyche)을 투영한다. 물리적으로는 이질적(heterogeneous)인 도시형태(urban morphology)와 동질적(homogeneous)인 건축유형(architectural typology)이 역설적으로 결합된 도시다. 정지우의 ‘분노사회(Angry Society)’ [1] 에 따르면 사회학적으로는 ‘집단주의(collectivism)’와 ‘개인주의(egotism)’가 역설적으로 결합된 도시다. 집단주의는 개인보다 집단의 가치를 우선시한다. 집단과 개인의 차이에 대한 개념은 페르디난트 퇴니스(Ferdinand Tönnies)와 막스베버(Max Weber) 등 독일 사회학자들로 거슬러 올라간다. 살짝 다른 관점으로 사회학자 바실번스타인(Basil Bernstein)은 사회언어학적으로 두 가지 언어 코드를 구분했다. 폐쇄적 지역사회에서는 ‘제한된 코드(restricted code)’가 발견되는 반면, 개인의 가치를 중시하는 열린 사회에서는 ‘정교한 코드(elaborated code)’가 발견된다.[2] 가장 최근에는 심리학자 기어트 홉스테드(Geert Hofstede)는 이전 사회학자들의 두 가지 사회・문화적 코드와 궤도를 같이 하는 집단주의와 개인주의에 대한 ‘문화차원(cultural dimension)’ 이론을 제시했다.[3]

정지우는 ‘분노사회’에서 현대 한국 사회는 두 가지 반대되는 가치 체계인 집단주의와 개인주의의 혼합체라고 정확히 꼬집었다. 정지우는 지난 100년 동안 한국 사회의 집단주의가 지연, 학연, 혈연에 근거한 강력한 족벌주의(nepotism)와 결합하여 강화되어 왔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러한 집단주의는 민간 기업뿐 아니라 정치, 관료, 학계 등 거의 모든 영역을 지배하고 있다. 이기심(selfishness)이 개인의 권리를 혼동하는 것처럼 집단주의 문화(collectivist culture)와 공동선(communal goods)을 혼동하고 있다.

‘퍼블릭(public)을 한국어로 번역하면 공공(公共)이다. 이때 한자의 첫 번째 공(公)은 ‘개방(openness)’을, 두 번째 공(共)은 ‘함께(togetherness)’ 또는 ‘공유(sharing)’를 의미한다. 그런데 두 번째 공(共)은 공산주의(共産主義)를 의미하는 말에도 사용된다. 1960년대부터 1980년대까지 군사 독재 시기에 한국정부는 반공을 정치적 경쟁자를 탄압하기 위한 수단으로 활용하였다. 이른바 레드 콤플렉스(red complex)라고 불리는 반 공산주의와 반 사회주의 이데올로기가 한국에서는 늘 존재해왔기 때문에, ‘공공(public)’은 논쟁적이고 복잡한 가치관이 담긴 말이 되었다.[4]

도시계획과 건축설계 분야에서 쓰는 말 중 가장 오염된 단어 하나가 ‘공동체(community)’이다. 실제 혹은 가상 공간에서 사람들이 소속감, 공유, 친밀감을 느끼는 사회적 단위를 의미하는 말이다. 하지만 공동체는 종종 개인의 차이보다는 물리적, 심리적 장벽을 만들어내는 동질성으로 묶인 집단으로 이해한다. 이는 사회학자 에밀 뒤르켐(Emile Durkheim)이 정의한 ‘기계적 연대(mechanical solidarity)’에 가깝다. 정지우는 한국에서 가장 강력한 공동체로 교회 관련 단체와 고급아파트 주민협의체를 꼽는다. 이런 현실과 달리 건물, 단지, 도시 블록(urban block) 사이에 빈 공간을 배치하고 이곳이 사람들이 모이고 소통하는 공유공간(communal space)이라고 주장하는 안들을 건축 및 도시 설계공모전에서 보는 것은 별로 놀라운 일이 아니다. 현실세계에서는 정반대로 다른 집단의 진입을 차단하는 강력하고 날카로운 경계(communal boundary)를 만들기 위해 치밀하고 암묵적인 전략이 사용된다. 집단주의와 이기주의가 결합하여 하나가 된다.

서울의 실험과 도전

서울시는 총괄건축가와 공공 건축가 제도를 도입했고 국제설계공모를 통해 중요한 공공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다.[5] 자하 하디드(Zaha Hadid)가 설계한 동대문 디자인 플라자(DDP)와 MVRDV가 설계한 서울로 7017이 대표적인 예라고 할 수 있다. 역사적 장소에 대한 부족한 인식과 과도한 건설 비용에 대한 논란과 비판에도 불구하고, DDP는 서울에서 반드시 방문해야 할 공공 장소로 손꼽히고 있으며, 서울비엔날레의 주요 행사장이기도 하다. 서울로 7017 또는 스카이가든도 관광객이 찾는 명소로 꼽힌다.

한국판 뉴욕 하이라인(New York’s Highline)으로 기획한 서울로 7017은 서울역 위를 지나는 고가도로를 재생했다. 사업 초기에는 소매업자와 노점상인, 지역 정치인들의 반대가 있었지만, 점차 도시공간에 녹아 들어 지금은 서울의 새로운 유형의 도시 공간으로 인정받고 있다.

이런 소수의 프로젝트와 달리 여러 실험적 사업은 큰 도전에 직면해 있다. DDP 와 서울로 7017 의 경우는 사유지와 경계가 명확히 구분된 공공부지를 활용하여 별 문제가 없었지만, 사유지에서 시도한 대규모 프로젝트는 중단되거나 교착상태에 있다. 서울의 심장부에 위치한 도시 건축 세운상가와 인접 지역은 현재 이러한 논란의 중심에 있다. 1990년대 중반 이후 역대 서울 시장들은 세운상가 지역을 활성화하는 비전을 제시했다. 2004년 최대 규모의 재개발 프로젝트 국제현상공모전에 코에터 김(Koetter Kim), 리차드 로저스(Richard Rogers), 마차도와 실베티(Machado & Silvetti), JERDE, 렘 쿨하스(Rem Koolhaas), 피터 아이젠만(Peter Eisenman), 폰 게르칸(von Gerkan), 테리파렐(Terry Farrell) 등 스타건축가들이 초청되었다. 이들 건축가들은 경험을 축적한 국내 대규모 건축사사무소와 협업하여 오래되고 불규칙한 도시 지역을 바꾸는 대담한 아이디어들을 제안했다. 하지만 이렇게 조명 받은 제안들은 계획 단계 이상으로 진행되지 못했다. 이 안들이 폐기된 이후 과정은 전문가들조차 이해할 수 없을 정도로 복잡하다. 2016년 세운상가 주변 일부 지역을 대상으로 또 한차례 국제현상공모가 진행되었고, 네덜란드의 KCAP의 설계안이 당선되어 다양한 과정을 거치면서 계속 수정되고 있다. 하지만 여전히 이 프로젝트가 설계안 대로 진행이 될는지 여부는 불투명하다.

유일하게 현실화된 프로젝트는 세운 몰(Sewoon Mall) 건물 양측에 설치된 보행 데크(walking deck)이다. 그 외 세운상가 인접 지역들은 별다른 계획 없이 철거되거나 방치된 채 남아있다. 최근 서울시는 오래된 가게와 식당들은 살아있는 생활 유산으로 반드시 보존되어야 한다는 논리로 민간 개발자가 시작한 재개발 프로젝트들을 성급히 중단시켰다. 재개발은 악이고 보존이 선이라는 도식은 대안을 찾는 합리적 토론과 결정을 더 복잡하고 만들고 있다.

아파트 단지와 공공주택

서울을 집합도시로 만드는데 있어 가장 어려우면서 중요한 과제는 대규모 아파트 단지의 계획 및 설계에 있다. 대표적 사례가 358,000 평방미터에 달하는 잠실5단지 아파트 주택재건축정비사업 국제설계공모와 187,000 평방미터의 중계동 본동 재개발정비정비구역 공동주택 국제지명설계공모전과 주거지보존 프로젝트다. 두 번째 지역은 일명 104마을로 불린다. 새롭고 의미 있는 디자인을 제안하는 건축가의 시도가 얼마나 쉽게 좌절 되는지를 단적으로 보여주는 사례이다. 국제설계공모에서 당선된 안의 실현은 토지소유자, 개발자, 지역 정치인, 서울시와 산하기관에 의해 이런저런 이유로 번번히 가로막혔다. 토지소유자와 주택소유자가 기존 주택시장에서 통용되는 고정관념에서 벗어난 건축가들의 배치와 평면은 경제적 이익이 줄어들 것이라고 믿는 토지와 주택소유자들에 의해 거부되었다. 건축가들이 구사하는 이미지와 말은 그들에게는 천진난만하거나 현실성 없이 비춰졌다. 명성 있는 건축가들은 소수의 상징적인 건축물들을 한정된 지역에 자유로이 구현할 수 있겠지만, 도시 전반의 질을 높이는 변화를 만드는 데에서 소외되어 있다.

집합성(collectiveness)과 집단주의(collectivism) 사이의 모순과 혼란은 공공주택에서 더 심각하다. 2015년 공공주택 특별법 제정과 함께 저소득층을 위한 중장기 임대 주택을 공급하기 위한 사업을 시작했다. 서울시는 도시 전역 곳곳에 저렴한 공공주택 공급을 통해 도시 내의 경제 사회적 격차를 줄이고자 노력하고 있다. 서울시가 개발을 유도할 수 있는 최고의 도시계획적 수단은 민간의 투자 수익률을 높이는 용적률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것이다. 저소득층이 모여있는 지역에서는 절반 이상의 원주민이 재개발 사업 과정에 다른 곳으로 이주하기 때문에 공공주택이 들어오는 것에 대한 반대가 상대적으로 적다는 것이 연구결과로 밝혀지고 있다. 그 결과 도시인프라가 열악한 구릉지에는 공공주택의 비율이 높은 고층고밀도의 아파트가 건설된다. 반면 대지가 평평한 부유한 지역에서 시행되는 주택재건축 사업은 토지소유자 대부분이 건설 이후에도 남기 때문에 공공주택이 들어오는 것을 결사 반대한다. 결국 양질의 도시기반시설을 내 외부에 갖춘 저밀도의 고급 아파트 단지가 지어진다. 비싼 동네의 아파트 단지는 뚜렷한 물리적 경계와 반가로적(反街路的) 저층부를 만들어 외부로부터 스스로를 물리적, 시각적으로 단절시킨다. 결과적으로 단지 공동체의 기계적 연대와 지역이기주의 현상은 한층 공고해진다. 서울시 의도와는 반대로 공공주택 프로그램은 역설적으로 기반 시설이 제대로 갖춘 부유한 지역 보다는 기반시설이 열악한 도시조직이 불규칙한 구릉지에서 더 많이 시행된다. [6] 이처럼 사회적 불균형과 불평등의 징후는 도시공간과 조직의 불연속성에서 명확히 드러난다.

양극화된 스케일이 만나는 지점들

건설산업은 지난 반세기 동안 한국 경제 발전의 동력이었다. 2016년 기준으로 한국의 국민총생산(GDP) 대비 건설투자비율은 15%로 OECD평균보다 5% 가량 높다. 건설투자비율이 정점에 올랐던 1990년대 초반에는 23%에 육박했었다.[7] 민간부문의 건설투자는 경기 상황에 따라 부침이 있었지만 정부와 지방자치단체는 건설 분야에 지속적으로 투자하였다. 2008년 금융위기를 맞기 이전까지 남한 인구의 1/4이 거주하고 있는 서울은 중앙정부의 정책과 궤도를 같이하며 탑다운 방식의 도시 계획과 건설 정책을 계속해왔다. 2008년을 기점으로 대규모 개발에서 점진적 재생으로 패러다임이 전환되었다. 하지만 필지 중심의 건축설계에 집중하는 건축가들은 이러한 변화를 주도하지 못하고 언저리에서 머물러 있다.

서울의 평균 필지 면적은 250 평방미터이지만 도심과 주변 달동네에는 100평방미터보다 작은 불규칙한 필지가 많다. 반면 재개발과 재건축으로 정비한 아파트 단지는 100,000 평방미터를 넘는다. 도시조직이 소형과 대형으로 양극화된 서울에서 중간 크기의 블록에 혁신적인 건물이 들어서는 경우는 아주 드물다. 집단주의와 이기주의의 역설적 조합은 이처럼 도시형태 및 건축유형의 양극화에 뿌리 깊게 내재되어 있다.

엄격하고 복잡한 법규가 적용되는 작고 불규칙한 필지에 사는 개인들은 이웃과의 갈등을 피하기 위해 지나치게 방어적이거나 공격적인 태도를 취하게 된다.  반면 작은 필지가 합쳐져 수백 배 규모로 커진 아파트 단지의 개인들은 집단주의 공동체(collectivist community)의 익명의 구성원으로 편입된다. 경계는 있지만 개방적이면서도 소속감을 공유하는 이웃이나 장소는 사라지고 있다. 미세한 도시입자(fine urban grain)와 동질화 된 영토(homogenized territories) 사이의 선택지는 그리 많지 않다. 이 지점에서 서울의 조밀하게 연결된 도시 조직에서 다원성과 개방성의 가능성이 있다는 한 학자의 관찰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8] 도시계획과 건축설계의 핵심은 점점 더 양극화되고 파편화되는 개발의 접면을 어떻게 다룰 것인가에 있다.

제약을 넘어서는 디자인

건축을 고도의 자율적인 행위와 결과물 보는 사람들은 법과 제도를 혁신을 가로막는 장애물로 생각한다. 하지만, 이들은 법령의 조(條), 항(項), 호(號) 세부 사항들이 미시적 건축 요소뿐 아니라 거시적 도시 경관에 직접적 영향을 끼칠 수 있다는 사실을 간과한다. 초고밀 도시 서울에서 수직성, 공간구성, 프로그램, 창문・발코니・입면, 아파트 평면 및 단지 계획, 가로의 배치까지도 도시 및 건축 관련 법률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어 있다. 고착화된 유형을 깨는 새로운 주택실험이 건축가, 도시계획가, 행정가, 개발업자, 주택시장 사이의 갈등 속에서 갇혀 있는 것은 구체적으로는 법의 문제이다.  좀 더 다양하고 포용적이며 지속 가능한 도시를 지향하는 디자인 혁신이 법의 제약을 극복하지 못한다면 불가능하다. 법과 제도는 디자인의 문턱을 설정하는 것이다. 법, 시행령, 조례, 규칙, 지침을 조금만 바꾸어도 혁신의 도화선이 될 수도 있는 디자인의 전제를 근본적으로 흔들 수 있다.

디자인은 주어진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넘어 통합(integraton)하는 것이다. “디자인 해결책은 분석과 종합의 마지막 단계에서 만들어지지 않는다. 추론(conjecture)과 검증(testing)의 초기 단계에서 이미 생성된다.”[9] 귀납과 연역의 두 가지 사고방식 사이에는 간극이 존재한다. 콰트르메르 드껭시(Quatremere de Quincy)와 줄리오 아르간(Giulio Argan)의 유형학 이론(typological theory)을 빌린다면 ‘특정한 형태의 규칙성을 비교하고 중첩(comparison and overlapping of certain formal regularities)’의 순간과 ‘형태를 결정(formal definition)’하는 순간은 다르다.[10] 디자인은 이 두 가지 별개의 단계를 연결하는 터널을 통과하는 과정이라 할 수 있다. 터널에 들어가기 전과 터널을 나올 때의 모습은 달라진다. 그렇지만 터널 안에서 무엇이 벌어졌는지는 논리적으로 완전히 설명할 수 없다. 이러한 퍼즐을 푸는 것이 디자인의 본질이자 힘이다.

건축에서 도시로 스케일을 전환하면, 우리는 또 다른 차원의 차이점과 마주하게 된다. 도시의 외적 힘(external urban forces)과 건축의 내적 원리(internal architectural principles)를 어떻게 조율할 것인가 하는 문제이다. 건축 설계는 내인적(endogenous)이고 도시계획은 외인적(exogenous)이다. 도시계획은 물리적 결과물을 만드는 것보다는 사회적 합의와 규칙에 이르는 과정이다. 개별 건물에 대한 미학적 부담에서 벗어나 현재의 제도적 결함을 인지하고 의사결정과정에서 참여의 폭을 넓혀가는 것이 건축가에게 주어진 의무이다.

서울의 개별 필지 위에 지어진 이름있는 건축가들의 작품이 방문자의 눈에는 ‘개인방언의 모음(collection of idiolects)’으로 읽혀지는 반면 익명의 집장사들이 지은 평범한 일상건물은 ‘집합적 버내큘러(collective vernacular)’으로 읽혀지기도 한다.[11] 건축을 하나하나의 떨어진 개체로 접근하는 도시는 진정한 집합도시가 될 수 없다. 건축가는 다른 전문성을 가진 분야와 협력하고 역량을 통합하는 현명한 전략과 지식을 갖고 작업을 해 나아가야 한다. 집합도시에는 다른 사람들과 소통하고 경계를 넘는 태도, 방법, 언어를 구사하는 다면적이고 유연한 전문가가 많아져야 한다. 지금 서울은 건축적 브리콜뢰르(architectural bricoleurs)를 절실히 필요로 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