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루함(boredom)의 역설, aoa의 건축 (2017-11-24)
지루함(boredom)의 역설, aoa의 건축 『제10회 젊은 건축가상 2017』, 시공문화사, 2017, pp.15-29. 각종 행사로 한국건축계가 분주했던 9월 첫 토요일 오후 ‘문화역 서울284’를 찾았다. 전시가 막을 내리기 몇 시간 전이었다. 경성역사 귀빈실 분위기를 재현한 네모난 방에 올해의 젊은건축가 강제용과 전종우(IDÉEAA), 국형걸(HG-Architecture), 서재원과 이의행(aoa architects)의 작업이 마지막 관람객들을 기다리고 있었다. 심사위원들의 의도였는지 우연한 결과였는지, 세 건축사무소의 개성과 색깔이 전시에서 뚜렷하게 드러났다. 유클리드기하학과 파라메트릭의 경계를 넘나드는 국형걸의 작업과, 공공성을 실천하고 있는 이데아의 크고 작은 공공건축물 사이에, 에이오에이..
더보기
Gangnam, Architectural Laboratory of Seoul (2017-09-03)
강남, 서울건축의 실험장 Gangnam, Architectural Laboratory of Seoul 『자율진화도시』, UIA 2017 서울세계건축대회 기념전, 서울시립미술관, 2016, pp.119-123. 강남을 서울보다 더 유명하게 만들었던 ‘싸이’의 ‘강남 스타일’은 정작 강남의 속살을 보여주지 않는다. 한강둔치나 놀이공원과 같은 강남을 둘러싼 주변부, 혹은 주차장, 테니스장, 체육관처럼 지하와 실내공간이 배경으로 등장할 뿐이다. 게다가 마구간, 사우나, 묻지마 관광버스 안에서 벌어지는 춤판을 편집한 영상에서 외부인들은 강남이 어떤 곳인지 가늠하기 쉽지 않다. 그들의 눈에 비친 강남스타일은 세련됨보다는 가식을 조롱하는 의도된 촌스러움이다. 그 배경인 도시건축은 명품과 키치의 잡종에 가깝다. 그럼에..
더보기
Movements in Contemporary Korean Architecture, 1987-1997 (09-01-2017)
Movements in Contemporary Korean Architecture, 1987-1997 In Architecture as Movement, Modern Architecture in South Korea, 1987-97,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in Korea, pp. 12-29 (In English); “한국 현대건축 운동의 흐름, 1987-1997,” , 국립현대미술관, 2017.12, pp.32-41 (In Korean); also in Papers and Concrete: Modern Architecture in Korea 1987-1997,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더보기
중간지대에 선 한국 건축가들 (2011.12.2)
중간지대에 선 한국 건축가들 Korean Architects Standing in the Middle 展 BankART 1929, Yokohama, 2011.12.2.-12.21 참여건축가 : 곽희수, 김동진, 김승회+강원필, 김찬중+홍택, 김헌, 문훈, 민규암, 민성진, 신창훈+장윤규, 유현준, 윤승현+서준혁, 윤웅원+김정주, 임재용, 조정구, 최욱, 한형우. 이상 16인(팀), 총괄기획 : 임재용 (한국) + Masashi Sogabe(일본) 같은 제목의 책, USD Publishing Co. 2011, pp.6-11. 2000년대 중반 이후 한국 건축계에 드러난 두드러진 현상을 꼽으라면 건축교육과 해외교류의 질적 변화다. 5년제 건축학교육이 설계 중심으로 바뀌고 실무계의 많은 건축가들이 대학으로 자..
더보기
Publications & Articles
BOOKS 2016.5 “The FAR Game: Constraints Sparking Creativity” with Eungee CINN, Keehyun AHN, Seungbum KIM, Isak CHUNG, Da Eun JEONG, and Richard Enos, SPACE Books. 2013 EASTERN PROMISES. Contemporary Architecture and Spatial Practices in East Asia, edited by Christoph Thun-Hohenstein, Andreas Fogarasi and Christian Teckert, with essays, project descriptions as well as research material on the reg..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