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nges in Urban Planning Policies and Urban Morphologies in Seoul,
1960s to 2000s
Kim, Sung Hong, “Changes in Urban Planning Policies and Urban Morphologies in Seoul, 1960s to 2000s,” Architectural Research, International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ISSN 1229-6163, Vol. 15, No. 3(September 2013). pp.133-14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highlight the main policies of the last half century that have shaped the urban architectural fabric of Seoul today, and explore whether a modified approach might better address the current socioeconomic conditions in Korea. The paper defines and examines urban planning in Korea through an overview of the four main urban project policies implemented in Seoul from the 1960s to the present: Land Readjustment (LR), Housing Site Development (HSD), Urban Redevelopment (UR), and Housing Reconstruction (HR). While the fundamental ideology behind these policies served well during a prolonged period of high economic growth, evidence is growing that these policies are losing steam under today’s conditions. A growing legacy of stalled and incomplete urban projects from the mid-2000s—the New Town Project is an example—begs the fundamental question as to whether an alternative urban planning paradigm is needed for Korea in an age of low economic growth, low birth rates and a fossil fuel energy crisis. Through the urban morphologies of the three residential areas in Seoul developed by LR projects, this paper looks at the possibility of urban regeneration through the sustainment of urban architecture in those residential areas that have not been affected by HSD, UR, and HR
Keywords: Seoul, urban planning policy, urban morphology, urban architecture, urban project, urban regeneration
1960-2000년대 서울의 도시계획 정책 및 도시 모폴로지의 변화
이 논문은 서울의 도시 조직 및 건축을 형성하는데 가장 큰 영향을 미쳤던 지난 50여 년간의 주요 도시계획 정책을 조명하고, 현재 사회 경제적 상황에 대응하는 새로운 접근법을 모색하는 것이 목적이다. 먼저 1960년대부터 2000년대 후반까지 서울에서 시행된 네 가지의 도시 사업인 토지구획정리사업, 택지개발사업, 재개발사업, 재건축사업을 통하여 한국의 도시 계획의 흐름을 약술한다. 이러한 정책들은 고도 경제성장기에 순기능을 했지만 최근 한계를 드러내고 있다. 2000년대 중반이후 난항에 빠진 뉴타운사업이 한 예로 저성장, 저출산, 저에너지 시대에 부합하는 도시 계획의 패러다임에 대한 필요성을 환기하고 있다. 이 연구는 택지개발사업, 재개발, 재건축 사업의 영향이 미치지 않았던 서울의 3개 토지구획정리사업 지구에서의 도시 모폴로지와 도시 건축을 비교하고 새로운 방식의 재생 가능성을 논의한다
.
키워드: 서울, 도시계획 정책, 도시 모폴로지, 도시건축, 도시사업, 도시재생
'Sonomad의 글쓰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Housing Site Development and a Shift in Urban Architecture at Mok-dong in Seoul (2015.5) (0) | 2015.07.05 |
---|---|
한국의 건축운동, 어떻게 볼 것인가 (2013.12) (0) | 2014.02.19 |
진례와 진례다반사 (2013.7.15) (0) | 2013.12.11 |
매혹적인 전원의 비밀 (2013.6.18) (0) | 2013.06.18 |
100원짜리 동전이 묻힌 슈투트가르트 도서관 (2013.5.21) (0) | 2013.05.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