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서울건축학교

한국의 건축운동, 어떻게 볼 것인가 (2013.12) 한국의 건축운동, 어떻게 볼 것인가 계간『건축과 사회』, 2013 특별호, 제25호, 「특집 한국 현대건축 운동의 흐름」, 2013. 12, p.10-27. 특집 ‘한국 현대건축 운동의 흐름’은 우연한 계기에서 시작되었다. 2013년 초 새건축사협의회(약칭 새건협) 회의가 끝나고 뒤풀이를 하던 자리였다. 모두들 약간의 취기가 오른 가운데 건축 운동에 몸 담았던 선배, 동료 건축인들의 기억이 희미해지기 전에 기록물을 만드는 것이 어떠냐는 말이 안주삼아 나왔다. 테이블 멤버가 이리 저리 바뀌는 가운데 『건축과 사회』의 특집으로 만들어보면 좋겠다는 분위기로 옮겨갔다. 새건협의 기관지인 『건축과 사회』는 학술 논문집과 건축 잡지 사이의 공백지대에서 건축의 사회적 역할을 다루는 계간지로 자리매김을 했음에도 불구하.. 더보기
90년대 말의 한국 건축계와 서울건축학교 (1999.10) 90년대 말의 한국 건축계와 서울건축학교 1980년 후반부터 1990년대 중반까지 한국 건축계에서는 기존의 학연중심의 건축회합과는 다른 새로운 형태의 건축동인단체가 등장했다. 나는 이 시기의 대부분을 해외에서 보냈기 때문에 그 목적과 활동을 자세히 접하지 못하였다. 때문에 서울건축학교가 과거의 건축 사회운동과 어떤 연결고리를 가지고 태동하였는지에 대하여서도 구체적으로 알지 못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서울건축학교에서 뚜렷한 특징을 발견하게 되는데 이점은 건축인의 대부분이 공감하는 사실이라고 생각한다. 이전의 활동이 건축과 건축가의 위상, 건축의 사회성에 대한 논의를 전개하긴 하였지만 구체적으로 실천되지 못한 반면 서울건축학교는 비록 제도화된 교육기관의 모습을 갖추지는 않았지만 `교육'이라는 형태로 실험을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