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onomad의 글쓰기

High Density Dilemmas: Apartment Development vs. Urban Management Plan in Seoul (2018-12-31)

 

High Density Dilemmas: Apartment Development vs. Urban Management Plan in Seoul

 

Seoul Studies, (The Seoul Institute), Vol.19, No.4. December, 2018, pp.1-19.

https://www.si.re.kr/node/61111

 

ABSTRACT

This paper examines 24 apartment complexes that were in the review process by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between 2013 and 2017. First, it overviews the laws governing apartment complex construction, the four major development tools, and the control mechanism known as ‘Floor Area Ratio’ (FAR). Second, it analyses the urban and architectural morphologies of the complexes, by identifying the interconnectedness of quantitative variables such as scale, density and height, and examining how these variables relate to the unit plan arrangement and the building layout in the complex. The study discovered that there was a proliferation of stereotypical unit plans and building layouts regardless of the specifics of sites and locations. This has been exacerbated by the conflict between short-term governmental policies on public housing supply and the long-term urban management plan, which has led to greater urban discontinuity and regional imbalance. The paper argues that high-density, large-scale apartment development contributes to a paradoxical combination of heterogeneity in its urban morphology and homogeneity in its architectural typology. This paper calls for the integration and coordination of the urban management plan with architectural design as the proper avenue for the establishment of a more sustainable high-density living environment in Seoul.

Key Words: High Density Development, Apartment Complex, Urban Management Plan, Floor Area Ratio (FAR), Urban and Architectural Morphology

 

 

고밀도의 딜레마: 서울의 아파트 개발과 도시관리계획

 

 

요약: 이 연구는 2013~2017년 동안 서울시 도시건축공동위원회와 건축위원회의 심의 대상이었던 24개 아파트 단지를 분석하였다. 본문은 크게 두 부분으로 구성된다. 첫 번째는 아파트 개발 관련법, 네 가지 아파트 사업방식, 법과 지구단위계획에서 용적률 관리 체계를 고찰했다. 두 번째는 24개 사례에서 단지 규모, 밀도, 높이 같은 정량적 변수와 단위 평면, 동 유형, 단지 배치 등 물리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아파트 단위평면과 배치 방식이 고착화되고, 장소와 관계없이 양산되는 것으로 확인됐다. 또한 단기적 공공주택 공급 정책과 장기적 도시관리계획의 괴리가 도시조직의 불연속성과 지역 간 격차를 심화시키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 연구는 고밀 대규모 아파트 개발이 서울에 나타나는 도시 이질성과 건축 동질성의 주요 원인이 된다고 지적하고, 지속 가능한 고밀도 주거환경을 조성·관리하려면 평면적 도시계획과 입체적 건축설계를 통합하는 도시관리계획의 수립과 운용이 필요하다고 제시하였다.

 

 

주제어: 고밀 개발, 아파트 단지, 도시관리계획, 용적률, 도시건축 모폴로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