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onomad의 글쓰기

도시 건축의 대형화와 건축사사무소의 변화 (2009.10)

2000년 이후 도시건축의 대형화와 건축사사무소의 변화에 관한 연구
The Transformation of Urban Architecture and Architectural Design Offices after 2000 in Korea
大韓建築學會論文集 계획계, 2009.10 25권 10호 (통권 252호). pp.121-130.

김성홍/ 서울시립대 건축학부

Abstract
The paper examines the changes in the size of architectural and urban projects, and the architectural design offices in Korea since 2000. Three research questions are raised specifically; the changes in the total building permit areas of each building types,  the total floor areas of major urban architecture in Seoul, and the size of architectural design offices and their projects. The various statistics were comparatively analyzed;  the statistics from OECD, the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Seoul Development Institute, and surveys from 30 selected architectural design offices in Seoul. The paper discovers that the high percentage of construction investment driven by the government and public institution have lead to the amplification of urban architecture, and in turn to the polarization of architectural design offices into mega-size firm and small atelier type firm. The amplification and polarization of architecture raises the question of the diversity of urban culture, and the qualities of micro-scale architectural design, and therefore rigorous interdisciplinary research and discussion are required.

1. 서    론

1.1 연구의 목적

1960년대 중반부터 경제성장의 한축을 주도해온 건설산업은 1980년대 후반 서울 올림픽을 전후해 양적, 질적으로 큰 변화를 겪었고 1990년대 후반부터 도시․건축 정책과 제도, 국내외 경제의 흐름, 사회문화적 변화로 새로운 국면을 맞이했다. 1997년의 외환위기에 건설업은 큰 타격을 받았지만 여전히 경제의 큰 부분을 담당해 오고 있다. 외환위기를 극복한 2000년대 들어서서도 정부의 억제정책에도 불구하고 부동산의 가격이 상승한 것은 경기 흐름과 건설산업이 여전히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한편 지구단위계획의 법제화, 공공사업의 일괄계약방식(턴키방식)과 건설관리(CM)의 본격적 시행, 민간투자유치사업(BTL), 프로젝트파이낸싱 사업(PF)의 도입, 부동산 개발업자(시행사)의 등장, 지방자치단체 주도의 사업, 자동차문화의 보편화에 따른 도시간의 유동성 등은 도시개발 단위와 건축물의 규모에 영향을 주고 있다.

  2000년대 우리나라 도시건축의 변화는 대형화, 수직화, 복합화로 요약할 수 있다. 지가가 높고 개발압력이 큰 도시지역에서 경제적 가치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법적 한도 내에서 연면적을 최대로 계획하며 이는 대형화와 수직화로 이어진다. 금융자본과 결합한 새로운 형태의 건설 사업은 대형화를 가속시키고 있다. 또한 도시와 건축 관련법의 한도 내에서 개발의 위험을 줄이기 위해서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복합하는 경향이 나타나고 있다.

  건축의 대형화와 함께 기술력과 인력을 축적한 초대형건축사사무소가 생겨나고 있다. 반면 건축학교육 인증제도 도입에 등 설계중심으로 건축교육이 전환되면서 작품성을 추구하는 많은 소규모 설계사무실의 건축사들이 대학으로 이동하였다. 건축의 대형화와 건축설계 시장의 양극화가 동시에 이루어지고 있으며 상관성을 갖고 있는 것으로 추론된다. 그렇다면 두 가지 현상은 어떤 점에서 건축학 연구로서의 중요성을 지니고 있는가?

   첫째, 건축의 대형화는 도시공간적 측면에서 근본적 문제를 내포하고 있다. 대형화는 과밀도시에서 부족한 공간을 공급하고 기술발전을 자극하는 긍정적 측면과 건축공간을 특정한 장소에 집중함으로써 도시 내의 불균형을 야기할 수 있는 부정적 측면을 지니고 있다. 단일필지에서 단지규모로 개발을 전환하는 국토이용관리법의 개정 취지와는 달리 개발 단위의 대형화는 도시공간의 문제를 오히려 악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둘째, 건축의 대형화는 건축유형의 편중화와 동시에 진행되는 것으로 보이는데 이로 인하여 건축의 표준화가 가능해지고 기술력이 축적되는 긍정적 측면과 다양성과 혁신성을 추구하는 건축설계분야의 실험적 시도가 소극적인 되는 부정적 측면이 있다.
셋째, 건축설계의 질에 미치는 영향이다. 짧은 기간에 이루어지는 대규모 사업은 기획 및 계획 단계에서 완성도가 높은 건축설계로 전환되지 못하는 구조적인 문제점을 안고 있다. 대형 설계사무소는 실시설계를 분리하여 외주의 형태로 수행하는 경향이 있으며 이 경우 건축사들은 건축물이 물리적으로 구현되는 전체 과정을 경험하지 못하며 장기적으로는 건축설계 수준의 저하로 이어질 수 있다.

  건축설계의 다양성과 창의성이 점차 중요해지고 있는 세계적 흐름에 비추어 건축유형의 편중화와 건축설계 프로세스의 단절화는 건축학계에서 다루어야 할 현안으로 대두되고 있다. 그러나 도시건축유형과 건축설계분야에 관한 대안을 논의하기 이전에 건축의 대형화가 어떤 양상으로 진행되고 있는지를 객관적 자료를 통하여 밝히는 것이 선행되어야 한다. 이러한 배경에서 이 연구는 2000년 이후 건축물의 대형화를 추적할 수 있는 각종 통계를 수집, 분석하고 건축사사무소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통하여 다음의 연구 질문을 논증하였다. 첫째, 2000년 이후 용도별(주거, 상업, 교육·사회, 공업시설) 로 건축물 연면적의 규모가 어떻게 변화했는가? 둘째, 서울의 대표적 도시건축 유형은 어떻게 변화했는가? 셋째, 건축사사무소에서 수행하는 용도별 건축물의 규모는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가? 초반부의 거시적 지표에서 출발하여 후반부의 건축적 자료로 좁혀들어 가는 형식으로 논문을 전개하였고 도시건축의 대형화와 건축사사무소의 양극화 현상의 상관성을 결론부에서 논의하였다.

1.2 연구의 방법 및 자료
이 연구를 위해 수집한 자료는 1) 경제개발협력기구 (이하 OECD) 에서 제공하는 건설투자비용, 건설활동인구, 자영업자비율 등의 거시 경제지표, 2) 국토해양부의 건축물 허가면적 및 동수, 건축사사무소의 규모 등의 건축 관련 전국통계, 3) 서울시정개발연구원에 제공하는 서울시의 용도별 연면적 등의 도시․건축 관련 통계, 4) 대한건축사협회 자료 5) 건축물의 규모에 관한 설문조사로 나누어진다. 설문조사는 소, 중, 대, 초대규모별로 서울소재 30개의 건축사사무소를 선정하여 실시하였다.
  연구의 시간적 범위는 1997년 외환위기 이후부터 미국발 금융위기가 닥친 2008년까지로 설정하였으나 OECD와 국토해양부에서 제공하는 통계자료의 연속성과 신뢰성을 고려하여 일부지표는 2000년 이후로 잡았다. 통계자료가 있는 지표는 1997년부터 포함했다. 서울시정개발연구원은 2001년부터 2004년까지의 자료가 불충분하여 이 기간을 제외한 1997년부터 2000년까지, 2005년부터 2007년까지의 자료만 포함했다. 연구의 시간적 범위는 경제적으로는 외환위기와 신용카드 사태를 극복하고 글로벌 경제체제에 본격적으로 편입되는 시기였고 정치사회적으로는 문민정부와 참여정부의 시기였다. 또한 도시와 건축분야에서는 국토이용관리법의 대폭 개정이 이루어져 도시설계와 건축설계를 제도적으로 접목하기 시작한 시기이다. 
  
2. 연구의 이론적 전제

2.1 대형건축물의 개념
‘대형’건축물 혹은 건축물의 ‘대형화’라고 할 때 ‘대형’은 범용적인 말이지만 객관화하기 쉽지 않는 개념이다. 시대, 장소, 맥락, 계층에 따라 ‘크기’는 다르게 인식되기 때문이다. 단층 목조건축이 대부분이었던 구한말에 등장한 종교건축과 일제강점기의 관청, 은행, 역사(驛舍)는 당시에는 초대형건축물로 인식되었다. 19세기 말 파리에 등장한 백화점 앞에서 문화적 충격을 받는 주인공의 모습을 묘사한 에밀 졸라의 소설은 건축의 대형화가 우리보다 앞섰던 유럽에서도 크기에 대한 인식이 어떻게 바뀌었는가를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또 서울의 대로변에 서있는 근린생활시설은 농촌마을에서는 큰 건축물로 인식되는 반면 반대의 경우는 성립되지 않는다.

  건축유형에 따라서도 크기의 인식은 달라진다. 공항, 운동경기장, 박람회장은 바닥면적(건축면적)이 기본적으로 일정규모 이상이 되어야 하며 건축물의 규모가 사업성을 좌우하는 요소가 된다. 아파트단지, 복합상업건축, 쇼핑몰, 공장은 하나의 건축물(棟) 단위가 큰 건축유형이다. 계층과 연령에 따라서도 ‘큰’ 건축물은 차이가 있다. 성인들에게는 평범한 규모의 건물도 어린이들에게는 큰 건축물로 여겨질 수 있다. 

  정량화의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건축물의 대형화를 논의하기 위해서는 ‘크기’에 대한 분류가 필요하였다. 객관적 수치로 범위를 정하는 합리적인 방법 중의 하나는 관련제도 및 법에서 정한 각종 기준을 참고하는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주차장, 내화기준, 감리기준, 유지관리, 개발이익과 공공성에 관한 기준 등의 관련법을 토대로 하고 현재 건축사사무소가 수행하는 프로젝트 등을 반영하여 건축물의 규모를 다음과 같이 나누고 연구를 진행하였다. (표1)

2.2 관련 선행연구
이 연구와 관련된 문헌은 크게 두 분야로 나눌 수 있다. 첫째, 건설투자와 건설경기의 변동 추세에 관한 분야이다. 대표적인 연구로는 건설경기의 추세를 단편적 통계로 파악하는 기존 연구방법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공급과 수요구조를 전반적으로 분석한 연구 (문성곤외, 2009), 건축허가면적과 건설투자와의 관계를 분석하고 경기 예측의 유용성을 다룬 연구를 꼽을 수 있다 (안민규외, 2006). 이러한 연구의 주요 목적은 건설경기를 예측하는 신뢰성 있는 방법론 혹은 지표를 개발하는 건설공학적 측면이 강하다고 할 수 있다. 반면 본 연구는 건설경기를 예측하는 데에 있는 것이 아니라 이미 이루어진 건설활동과 건축물의 규모를 비교․분석하는 건축계획론적 측면에 있다고 하겠다.

  둘째, 건축사사무소에 관한 연구 분야로 소규모 건축사 사무소의 경영, 기술, 디자인, 관리능력에 관한 연구 (김성철외, 2000), 국내 중소규모 건축사무소와 엔지니어링 분야와의 협업을 위한 의사결정참여 모델을 제시한 연구 (이종식외 2009), 설계조직의 프로젝트 수행평가에 관한 연구 (전준기외 2009), 지능형 객체정보 설계도구(BIM) 도입에 따른 설계사무소 설계조직의 변화에 관한 연구 (윤여진외, 2008)가 있다. 이러한 연구는 주제와 방법론에서 차이가 있었지만 건축사사무소의 조직, 업무 프로세스, 협업, 운영에 관한 문제점을 제기하고 대안을 제시하는 공통점이 있었다. 반면 본 연구는 이미 수행한 건축 프로젝트를 용도별, 규모별로 분석하여 도시건축의 전반적인 추세를 논의하는데 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문헌 고찰의 결과 최근 몇 년간 건축학계에서는 건설산업, 건축사사무소에 관한 다수의 연구가 있었으나 본 연구가 다루고자 하는 도시건축의 대형화 및 건축사사무소의 양극화에 대한 실증적 연구는 거의 없었다고 할 수 있다. 다만 건설산업의 통계 분석의 방법론, 건축사무소의 조직 및 업무 프로세스에 관한 문제점을 제기한 기존 연구의 당위성은 참조하되 본 연구의 주된 목적이 아니므로 다루지 않았다.

3. 건축물의 대형화

3.1 건축물 연면적의 변화
건축물 규모의 변화를 살펴보기 위해서 먼저 국토해양부가 제공하는 연도별, 용도별, 지역별 건축허가면적을 조사하였다. 허가면적은 엄밀히 건설단계 이전의 건축설계 활동을 의미한다. 허가 행위가 곧바로 시공으로 이어지는 것은 아니지만 이 연구에서는 ‘건설활동’을 나타내는 기본적인 지표로 사용하기로 하였다. 

  전국의 연도별 허가면적은 2001년부터 2008년까지 증가와 감소를 반복하였지만 전체적으로는 꾸준히 증가하였다. 2004년과 2005년은 감소했다가 2006년과 2007년은 증가하였고 2008년 다시 감소추세로 돌아섰다. 즉 상승과 하강이 반복되었던 지난 8년 기간 중 2003년과 2007년이 정점이었던 해였다. (그림1)

  흥미로운 것은 허가 동(棟)수와 허가면적의 증감이 일치하지 않는다는 사실이다. 2003년 허가면적은 전년도 대비 늘었지만 동수는 오히려 줄어들었고, 2008년의 허가면적은 2007년보다 줄었지만 동수는 늘었다. (그림2) 허가면적과 동수의 불일치는 건축물의 규모의 변화로 해석할 수 있다. 2003년 허가를 받은 건축물 한 동의 평균 연면적(이하 평균규모 = 연면적/동수) 은 지난 10년 동안 가장 컸지만(854m2), 2008년의 규모는 가장 작았다 (526m2). 2008년에 허가를 받은 건축물의 규모는 2003년의 62% 수준이다.

  전체적으로 건설활동이 활발했던 해는 규모가 컸고, 침체기에는 규모가 그만큼 작았던 것을 의미한다. 건설의 활황과 건축의 대형화가 동시에 진행된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유의미한 통계이다. 그러나 이러한 가설은 유형(용도)에 따라 차이가 있었기 때문에 일반화할 수 없었다. 주거시설은 경기의 저점이었던 2005년, 상업시설은 상승기인 2002년, 공업시설과 교육·사회시설은 2001년에 각각 허가 건축물의 규모가 최고였다. (그림3)

  이러한 차이에도 불구하고 공공부문의 건축물의 규모는 경기의 흐름에 큰 영향을 받지 않고 규모를 유지하고 있는 점이 뚜렷했다. 2008년 주거시설은 규모가 가장 컸던 해인 2005년의 38%, 상업시설은 2002년의 54% 수준에 그쳤지만, 공업시설은 2001년의 89%, 교육·사회시설은 2001년의 92%까지 회복했다. 민간자본이 중심인 주거와 상업시설은 최근 침체기에 규모가 작아졌지만 정부가 주도하는 공공건축물은 그 규모를 어느 정도 유지하고 있다는 의미이다.

  규모의 또 다른 변수는 지역별 차이다. 2008년 서울에서 허가를 받은 건축물의 규모(1,131m2)는 전국 평균 (526m2)의 2.2배, 수도권(698m2)의 1.6배에 이르렀다. (그림4) 2008년 서울의 건축물의 규모는 최고였던 2003년의 73%에 육박하여, 수도권의 59%, 전국의 62%를 앞질렀다. 서울의 도시건축이 전국의 건축의 대형화의 가장 큰 변수라는 사실이 확인된다.

  2001년부터 2008년까지 8년간 통계의 분석을 요약하면 첫째, 건축물의 허가면적이 경제 상황에 따라 부침을 반복하였다는 점이다. 둘째, 건축물의 규모가 점차 대형화하고 있는데 민간부문에서는 아파트가, 공공부문에서는 교육·사회시설이 이끌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셋째, 서울의 도시건축 규모는 전국의 2배가 넘으며 수도권과 함께 대형화를 주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렇다면 건축물의 규모는 건설 투자비용, 건설 고용과 같은 보다 거시적인 지표와 어떤 관계가 있으며, 선진 경쟁국가와 비교하여 어떤 수준인가?

3.2 건설 투자
OECD가 통계를 제공한 2003년부터 2007년까지 기간 중 우리나라의 국민총생산 (GDP) 중에서 건설투자가 차지하고 있는 비율을 산출해보았다. 2003년의 18.7%에서 2007년 17.9%에 이르기까지 미세하지만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표2) 이것이 경제 선진국의 산업구조와 유사한 형태로 가는 과정인지 일시적인 침체인지를 판단하는 것은 이 연구의 주된 질문은 아니지만 현재 건설 투자의 증가세가 둔화된 것은 사실이다. 그렇다면 다른 가입국들의 건설투자 비율은 어느 정도인가? 

  2007년 우리나라 건설투자 비율인 17.9%는 독일, 미국, 프랑스, 영국, 이탈리아, 네덜란드, 일본보다 6~8% 이상 높은 수준이었다. (표4) 다만 스페인은 최근 세계 건축 디자인을 선도하는 국가이면서 건설투자도 17.9%로 커서 예외였다. 향후 건축설계와 건설산업의 상관관계를 연구를 위해 참고할 만한 국가라고 판단된다. 스페인을 제외하면 우리나라보다 총생산규모가 크거나 1인당 소득수준이 높은 선진국은 건설 투자의 규모가 10% 내외라는 사실이다. 반면 우리나라는 여전히 건설이 경제의 큰 축을 이루고 있다.

  그런데 OECD의 건설 투자액은 주거부문과 비주거 (건축물 및 토목구축물) 로 구분되어 있다. 2007년의 경우 우리나라의 주거와 비주거의 비율은 1:2.4 (5.2%:12.7%) 로 비주거가 2배 이상 많았다. 일본(1:2.6)은 우리나라와 비슷한 수준이지만, 미국(1:1.2), 영국(1:1.6), 독일(1:0.7), 프랑스(1:0.6), 이탈리아(1:1.1), 스페인(1:0.9), 네덜란드 (1:0.8)는 주거가 비주거와 비슷하거나 다소 높았다. 건설 투자액이 국민총생산의 10% 내외를 차지하고 있는 선진국은 주거와 비주거가 대등한 반면 건설 투자액이 높은 일본과 우리나라는 비주거가 주거의 2배 이상이라는 사실이다. 이는 주거건축 (단독, 다세대, 다가구, 아파트 포함) 이외에 기타 공공 및 민간 건축물과 토목구축물이 건설산업을 지탱하고 있는 우리나라와 일본의 특징을 통계적으로 보여주는 것이다. 우리나라와 건설 투자액이 비슷한 스페인의 주거 비율이 높은 것은 흥미로운 비교 대상이다.

  OECD의 비주거 부문 투자 비율을 건설교통부의 허가면적과 비교하면 공통적인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2003 ~ 2007년 기간 중 경기에 영향을 받지 않고 허가면적이 꾸준히 증가했던 것은 교육·사회시설 및 기타시설이었다. OECD 통계에서도 비주거 건축물 중 교육·사회시설과 같은 공공건축물에 대한 정부의 투자가 지속되었다는 사실이 확인된다. 민간건축물이 상승과 하강을 반복했던 지난 몇 년간 정부가 주도하는 공공건축물과 토목구축물이 시장을 지탱한 것이다. 향후 선진국형 산업구조에 근접할수록 건설투자 비율은 줄어드는데 앞의 비교 대상국가의 모델을 따른다면 비주거 부문, 즉 공공주도의 사업이 가장 큰 영향을 받게 될 것이라는 전망을 할 수 있다.

3.3 건설활동인구의 변화
그렇다면 건설투자에 상응하는 고용 인구수도 다른 나라에 비해 많은 것인가? OECD는 각국의 경제활동인구, 자영업자의 비율을 공시하고 있는데 이를 살펴보면 2007년 우리나라의 건설활동인구는 전체의 7.9%이다. (표4) 스페인, 일본, 미국, 이탈리아, 멕시코, 프랑스, 독일, 네덜란드, 영국과 비교하면 활동인구가 특별히 많은 것은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스페인(13.4%)과 일본(8.4%)은 우리보다 높았고 북부 유럽의 국가들은 대체적으로 낮았다.

  건설투자 비율은 높은데 활동인구의 비율은 높지 않다는 것은 1인당 건설투자 비용이 그만큼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OECD 가입국과 비교할 때 우리나라는 여전히 건설주도형 국가라고 부르는데 큰 무리가 없을 것이다. 금융, 부동산, 서비스업종의 활동인구와 비교하면 이런 해석이 더욱 힘을 얻는다. 금융고용은 13.5%로 네덜란드, 영국, 프랑스, 미국, 독일, 이탈리아와 같이 금융 산업이 발달한 나라들보다 현저히 낮았다. 다만 스페인, 멕시코, 일본보다는 높았다. 기타 서비스업 종사인구는 22.4%로 일본, 프랑스, 미국, 네덜란드, 영국, 독일, 이탈리아, 스페인보다 낮았고 특히 개발도상국인 멕시코보다도 낮았다. 각국이 고유한 경제활동인구 분포를 가지고 있다고 하더라도 우리나라는 OECD 가입국 중 개발도상국인 멕시코에 가장 가까운 모델이라는 점이다. 선진국형 산업구조에 근접할수록 건설투자 비율은 줄어들며 보다 많은 사람들이 금융과 서비스업과 같은 3차 산업으로 이동할 것이라는 경제일반론적인 사실을 통계는 보여주고 있다.

  OECD 가입국의 산업구조에 관한 통계와 국토해양부의 건축물 허가면적을 비교 결과를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우리나라의 건설투자는 OECD 가입국 중 가장 높은 수준이다. 둘째, 높은 건설투자는 민간과 기업보다는 정부가 주도하고 있다. 셋째, 건축물의 대형화는 민간부문에서는 아파트, 공공부문에서는 교육·사회시설이 주도하고 있다. 넷째, 건축물의 대형화는 서울과 수도권에서 가장 현저하게 나타난다. 국토해양부와 OECD의 통계는 기술한 바대로 거시적 건설산업의 추이를 해석하는 데는 큰 도움이 되었으나 구체적으로 어떤 건축유형이 어떻게 변화하는가를 파악하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특히 민간부문 건축물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서는 다른 통계자료가 필요하였다.

4. 도시건축유형의 변화

4.1 서울시 주요 도시건축유형 연면적의 변화
앞서 건축의 대형화를 주도하는 곳이 서울이라는 사실을 통계자료를 통해 제시했다. 이를 건축유형별로 파악하기 위하여 서울시 소재 건축물의 연면적 통계자료를 조사하였다. 이 자료는 과세대상이 되는 서울시의 모든 건축물의 연면적을 합한 것으로 도시의 내부공간이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를 보여주는 매우 중요한 기초 자료이지만 과세대상이 아닌 교육 및 공공시설은 포함되어 있지 않다. 1997년∼2000년까지는 서울시정개발연구원이 온라인으로 제공하는 통계를 사용하였고, 2001년∼2004년은 자료가 없어서 제외하였다. 2005년∼2007년은 서울시정개발연구원이 제공한 기초 통계자료를 연구자가 정리하여 다시 작성하였다.

  이 자료에 따르면 2007년 현재 용도상 연면적이 가장 많은 건축유형은 아파트(30.8%) 근린생활시설(16.3%), 사무소건축(10.4%)으로 나타났다 (표6). 용도상의 분류이므로 건축물의 단위와 일치한다고 단언할 수는 없다. 여러 용도가 혼합된 복합건축물이 점차 많아지는 것이 추세이기 때문이다. 이 점을 고려한다고 하더라도 세 가지는 서울을 형성하는 주요한 도시건축 유형임에는 틀림없다. 건축사사무소의 주요 일감이며 건축설계 시장의 변화를 투영한다고 할 수 있다.

  1997년부터의 각각 세 유형의 연도별 변화를 살펴보면 아파트는 지속적으로 늘어나 서울의 민간건축물 연면적의 약 30%를 차지하고 있으며, 근린생활시설 (이하 근생) 은 2000년까지 14% 수준에서 정체되다가 2005년 16%대로 증가하여 유지되고 있다. 사무소건축은 10-11%에서 머무르고 있다. 아파트가 주거건축을 대표한다면 근생은 상업건축을 대표하고 있다. 앞서 국토해양부의 통계자료에서 서울의 도시건축의 규모가 전국의 2배이며 대형화를 주도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한 바 있다. 또한 2005년까지 주거건축의 허가 연면적이 지속적으로 증가한 반면 상업건축은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는 사실도 기술한 바 있다. 이는 아파트 연면적의 지속적 증가, 근생의 둔화를 보여주는 서울시의 통계자료와 일치한다고 하겠다.

4.2 중소규모 근린생활시설의 침체
그런데 서울시의 각 자치구별로 자료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이 나타난다. (표7) 아파트 연상면적은 지역별로 편차가 많다. 2007년 현재 노원구는 아파트가 전체 연면적의 62.6%, 양천구는 44.7%를 차지하는 반면, 중구는 7.2%, 종로구는 9.9% 밖에 되지 않는다. 반면 사무실 건축물은 중구가 33.2%, 종로구가 25.0%를 차지하는 반면, 노원구는 2.1%, 양천구는 6.6%로 25개 자치구 가운데 낮다. 노원구와 양천구는 아파트 밀집 지역이고 중구와 종로구는 사무실이 밀집한 도심이기 때문이다. 그런데 근생은 노원구 11.6%, 양천구 14.0%, 중구 21.7%, 종로구 20.3% 로 아파트나 사무소건축 만큼 편차가 심하지 않다. 즉 주거지역과 상업지역의 분포와 크게 관계없이 근생은 서울의 도시전역에 골고루 분산되어 있는 것이다.

  지역지구와 관계없이 서울시 전역에 골고루 분산되어 있는 근생은 외환위기가 발생한 1997년과 비교하면 2.7% 늘어났다 (표6). 그렇지만 통계 자료가 누락된 기간을 제외한 전반기(1997-2000년)와 후반기(2005-2007) 중에는 근생의 연면적은 거의 정체되었다. 따라서 민간부문의 건설이 침체되었던 후반기 근린생활시설의 소폭 증가도 신축이라기보다는 대규모 복합상업건축의 일부로 면적이 산입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반면 아파트면적 비율은 1997년보다 7.7% 증가하였고 사무소건축의 비율은 오히려 1.1% 줄었다.

  지난 10년 동안 아파트는 대규모 건축사사무소, 근린생활시설은 중소규모 건축사사무소의 가장 주요한 일감이었다. 따라서 아파트의 증가는 건축사사무소의 대형화, 근린생활시설의 정체는 소규모사무소의 퇴조를 의미한다. 더욱이 OECD 가입국의 부문별 경제활동인구 비율 (표4)에서 보듯이 도․소매, 음식숙박업 등의 높은 자영업자의 비율이 선진국형 구조로 전환될 경우 이들이 생업 현장인 근생의 수요는 줄어들 수밖에 없을 것이다. 이러한 산업구조 변화의 가설이 맞는 다면 우리나라 중소규모 건축사사무소는 더욱 위축될 것으로 예측된다. 즉 도시건축 유형의 변화는 건축사사무소의 대형화와 양극화와 직결된다고 하겠다. 이를 현재 건축사사무소의 규모와 프로젝트의 규모를 통해 실증적으로 조사하였다.

5. 건축사사무소의 변화

5.1 건축사사무소 규모의 변화
먼저 건축허가면적, 건설투자비용, 서울시의 건축유형별 규모와 건축설계 분야가 어떤 연관성이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먼저 대한건축사협회가 매년 조사하는 건축사사무소의 규모를 비교하였다. 2008년 현재 등록 건축사사무소 가운데 1인의 건축사가 운영하는 사무소는 전체의 92.7%(6,659개), 3인 이상의 건축사를 보유한 사무소는 1.8%(127개)로 규모의 양극화를 뚜렷이 보여주고 있다. (표8) 3인 이상 사무소 중 56.7%(72개)는 서울에 소재하고 있어 서울과 지방의 양극화도 현저히 드러나고 있다. 또한 이러한 양극화는 해가 감에 따라 더욱 심화되고 있다. 1인 사무소의 비율은 증가하는 반면 3인 이상 사무소의 비율은 감소하고 있다. 상위 10여개의 사무소는 초대형화하고 있기 때문에 규모의 양극화는 앞으로도 계속될 전망된다.

5.2 건축사사무소 프로젝트의 변화
이러한 규모의 양극화가 각 사무소에서 수행하는 프로젝트의 규모와 용도에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파악하였다. 현재 중규모 이상의 건축사사무소는 대부분 설계와 감리 영역으로 구분되고 있는데 대형화될수록 후자의 비율이 커지고 있다. 프로젝트와의 상관성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감리를 제외한 설계부문의 인원만으로 조사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판단하여 다음과 같이 구분하였다. (표9)

  규모별로 대표성이 있는 서울소재 33개 건축사사무소를 선정하여 설문을 요청했고 30개 사무소가 답변을 주었다. 8개의 초대규모와 5개의 대규모사무소는 규모면에서 전국적으로 대표성이 있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선정되었다. 중규모의 경우에는 모집단이 적지만 전문화되어 있고, 소규모의 경우에는 모집단이 크기 때문에 각각 선정의 논리적 전제가 필요하였다. 4개의 중규모와 13개의 소규모사무소는 건축지, 전시회 등에 프로젝트를 발표하거나 수상실적이 있는 작품성을 추구하는 사무소를 선정하였다. 사무소의 이름은 밝히지 않는 전제하에 연구를 진행하였다. 

  설문의 주요내용은 두 부분으로 나누었다. 첫째, 전체인원, 설계 및 감리 부문 인원, 건축사보유 인원,  규모별로 평균 참여인수를 묻는 개요 부분이다. 둘째, 수행한 프로젝트를 용도별 (주거, 상업, 교육․사회, 공업, 기타), 규모별 (표1에서 구분한 연면적), 연도별 (2005년 - 2008년)로 구분하고 각 항목에 프로젝트의 수를 기입하는 것이었다.

(1) 프로젝트 수의 변화
먼저 지난 4년간 조사 대상 전체 사무소가 수행한 프로젝트의 수를 분석했다. 전체 사무소의 연 평균프로젝트 수는 23.2개였고, 2005년 22.5개에서 2008년 24.4개로 매년 증가하였다.

  이는 앞서 국토해양부의 허가 동수에서 나타난 꾸준한 증가세와 일치한다고 하겠다. 건축설계와 허가 행위가 동일한 연도에 이루어졌다고 할 수는 없지만 설문조사에서 시공이 되었거나 시공 중인 프로젝트만을 대상으로 하였기 때문에 유의미한 통계라고 하겠다. 허가면적은 감소했지만 전국의 허가동수와 설문조사 대상 30개 사무소가 수행한 프로젝트수가 유사하게 증가했다는 사실이다.
이를 규모별로 나누어보면 초대규모 사무소의 4년간 연평균 프로젝트는 48.9개, 대규모는 25.6개, 중규모는 18.9개, 소규모는 7.8개로 나타나 규모와 프로젝트의 뚜렷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건축사보유자 수에서도 1인 건축사사무소와 97명을 보유한 초대규모사무소가 대비되었다. (표9)

  같은 자료를 주거, 상업, 교육․사회, 공업 등 용도별로 분석을 해보았더니 증가와 감소를 반복하는 양상 이외에는 일관된 흐름을 발견할 수 없었다. (그림5) 2008년의 경우 주거, 공업, 기타는 감소한 반면 상업과 교육․사회는 증가하였다. 이를 사무소의 규모별로 세분화하여도 일관성을 발견할 수가 없었다. 사무소의 규모와 프로젝트 수는 뚜렷한 상관관계가 있지만 용도별로는 매우 복합적인 양상을 띠고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초대규모와 대규모의 경우 주거, 상업, 교육․사회시설의 순위가 해마다 반전을 거듭하는 반면, 중규모와 소규모는 용도별로 일정한 범위 내에서 증감한다는 사실이다. 대규모의 사무소일수록 경제상황과 정부의 건설정책에 더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특히 초대규모는 주거, 상업, 교육․사회시설은 2005년에 94∼98개로 근소한 범위 내에 있었지만 2008년에는 교육․사회는 78개, 상업은 135개로 차이가 벌어졌다. 소규모의 경우 2006년 이후 상업, 교육․사회, 주거의 순으로 고착화되는 경향을 보였다. 대규모 아파트설계에 참여하지 못하는 소규모 사무소의 특징을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

  프로젝트의 연도별 통계를 요약하면 지난 4년 동안 경제 상황이 어려워지면서 건축사사무소가 수행하는 프로젝트는 복잡, 다양해지고 있지만 대규모와 소규모가 뚜렷하게 양극화되고 있다는 점이다. 인원, 건축사보유수, 연평균 프로젝트 수, 프로젝트의 용도의 측면에서 두 그룹은 뚜렷이 양분되었다. 중규모 사무소는 두 그룹 사이의 좁은 중간지대에 있으며 상업시설의 감소가 뚜렷하여 경기침체와 양극화가 심화될수록 전문화와 같은 생존전략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2) 용도별 프로젝트 규모의 변화
다음은 각 규모의 사무소들이 어떤 규모의 프로젝트에 주력하는지 분석했다. (그림6) 작품성을 추구하는 50명 미만의 소규모사무소는 주거, 상업, 공업시설은 2,000m2미만(소규모), 교육·사회시설은 2,000∼10,000m2(중규모)의 프로젝트가 가장 많았다. 반면 100,000m2이상(초대규모)의 프로젝트는 거의 없었다. 50∼100명의 중규모사무소는 상업시설은 10,000∼50,000m2(중대규모)규모의 프로젝트가 가장 많았고, 교육·사회시설, 공업시설은 소규모사무소처럼 2,000∼10,000m2(중규모)의 프로젝트가 가장 많았다. 주거시설은 이와 달리 100,000m2이상(초대규모)이 가장 많았다. 100∼250명의 대규모사무소와 250명 이상의 초대규모사무소는 주거시설은 100,000m2이상(초대규모)이 가장 많았고, 상업, 교육·사회, 공업시설은 10,000∼50,000m2(중대규모)규모의 프로젝트가 가장 많았다. 이를 표로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표10)

  대규모 아파트에는 중규모 이상의 사무소가 주로 진입하고 있으며, 정부와 공공기관이 주도하는 교육·사회시설에는 대규모 이상의 사무소가 진입하는 것이다. 즉 중규모 사무소에 진입하기 위해서는 대규모 아파트 시장에 뛰어들어야 하며, 대규모사무소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대형 공공사업의 수주 능력이 필요하다는 점이다. 특히 주거시설 규모의 양극화는 건축사사무소를 양극화하는 주원인임이 현저하게 드러났다.

  규모별로 필요한 인원수를 설문한 결과 13개의 초대규모와 대규모사무소는 100,000m2이상의 규모를 설계하기 위해서는 평균 15.3명이 필요하다는 답을 했다. 2,000∼10,000m2 규모에는 4.9명, 10,000∼50,000m2규모에는 7.8명이 필요하다고 답했다. 반면 13개의 소규모사무소는 자신들이 주력하는 2,000∼10,000m2 규모에는 4.6명, 10,000∼50,000m2 규모에는 6.1명이 필요하다고 답했다. 조사에서 나타나듯이 소규모사무소는 초대규모의 아파트설계, 중대규모의 공공발주 설계에 진입하는 것이 매우 어려운 상황이다.

(3) 양극화 구도의 건축설계 영역
앞서 기술한 바처럼 설문대상의 13개의 소규모사무소는 설계인원이 10-35명 범위에 있으며 건축지, 국내외 전시회에 작품을 발표하는 아틀리에형 조직으로 현재 한국건축계의 디자인을 선도하고 있다. 하지만 대형화하고 있는 아파트, 정부주도의 공공건축에 진입하지 못하는 구조적 문제를 안고 있다. 반면 설계인원이 100명이 넘는 13개의 대규모와 초대규모의 사무소는 그 규모에 비해 혁신적인 작품으로 건축계를 주도한다고 보기 어렵다. 설문조사 결과는 건축의 양극화와 건축계의 양극화가 동반되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여 주고 있으며 한국 건축계에 근본적인 문제점을 던지고 있다.

  앞의 통계에서 보듯이 경제선진국은 건설산업의 투자비율은 줄어들고 금융 및 서비스업으로 전환되고 있다. 즉 건설산업과 건축설계가 결합되어 높은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방향으로 가고 있다. OECD가입국에서 예외가 없었던 것으로 볼 때 우리나라 역시 이러한 과정을 밟을 것으로 예견된다. 건축설계의 혁신은 건설산업 전체를 위해 매우 중요한 부분이다. 이러한 전제에서 다음과 같은 연구와 논의가 지속적으로 필요하다고 하겠다.

  첫째, 현재 진행되고 있는 건축의 대형화와 양극화가 도시공간에 어떤 영향을 주고 있는지를 연구하고 우리나라의 상황에서 합리적인 도시건축의 규모에 관한 학술적 논의를 시작하는 것이다. 특히 정부가 주도하는 공공사업의 규모와 속도, 건축설계와 지구단위계획과의 밀접한 연계 등에 관한 건축과 도시학계의 학제간 논의가 필요한 시점이라고 생각된다.
  둘째, 대규모사무소가 건축설계의 질을 높이고 전문화할 수 있는 방안과 대규모 사업에서 배제되고 있는 소규모사무소가 협업할 수 있는 대안 모색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특히 공공사업의 일괄계약방식(턴키방식)과 건설관리(CM), 현상설계 공모방식이 건축설계에 미치는 영향을 심도있게 논의할 시점이라고 본다.
  셋째, 건축물의 폭, 깊이, 높이 등의 대형화가 내부 공간구조(모폴로지)에 어떤 변화를 가져오고 있는가 하는 건축유형학 연구이다. 대형화는 구조, 형태, 공간을 결합한 상위의 디자인의 원리를 수반하기 때문이다. 즉 건축의 ‘크기’의 문제와 디자인 혁신의 문제를 결부하는 연구와 실험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6. 결   론

외환위기를 극복한 2000년 이후 우리나라의 건축물의 규모는 경제상황의 부침에도 불구하고 꾸준히 대형화하고 있으며 민간부분에서는 아파트, 공공부문에서는 교육·사회시설이 주도하고 있다. 이는 다른 경제선진국에 비해 높은 건설투자비율과 함께 나타나고 있다. 서울과 수도권의 도시건축은 대형화를 주도하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서울 전체연면적의 30% 이상을 차지하는 아파트는 건축유형 편중화의 주요 원인이 되고 있다. 한편 상업건축을 대표하는 근린생활시설은 점차 둔화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산업구조에서 기형적으로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도․소매, 음식숙박업 자영업자의 비율이 선진국형 구조로 전환될 경우 이들이 생업현장인 소규모 상업건축의 수요는 줄어들 수밖에 없을 것이다.

  이러한 주거와 상업건축의 불균형은 건축사사무소의 양극화로 이어지고 있다. 건축사사무소는 서울과 수도권의 편중되어 있으며 건축사 1인이 운영하는 사무소의 비율이 92.7%에 이르고 있으며 계속 증가하는 추세이다. 한편 1,000명이 넘는 초대형사무소가 출현했고 인원이 300명이 넘는 상위 10개의 대규모사무소는 초대규모 프로젝트의 의존도가 매우 높게 나타나고 있다. 이제 건축의 대형화와 양극화를 건축-도시 학제간 관점에서 연구하고 논의할 시점이 되었다. 또한 건설산업과 건축설계가 결합된 선진국형 산업구조로 전환되기 위해서는 기술과 디자인의 융합을 촉진하는 연구도 필요하게 되었다. 이 논문은 이러한 학제적 건축학 연구를 위해 선행되어야 할 대형화와 양극화의 선행 연구로 향후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고 하겠다.

참고문헌
1. 김성홍, 『도시 건축의 새로운 상상력』, 현암사, 서울, 2009
2. 김성철, 성인수, 「소규모건축사사무소의 경제적 성과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계획계), v.20 n.2, 2000-10, pp.279-2825.
3. 문성곤, 이주성, 이윤선, 김재준, 「건설산업 구조 분석을 통한 건설경기 변동 추세 분석」, 대한건축학회 논문집(구조계), v.25. n.06, 2009, pp.171-178
4. 안민규, 문혁, 김재준, 「건축허가 면적 지표 증감에 따른 건설투자 변동 분석」, 대한건축학회 논문집(구조계), v.22. n.12, 2006, pp.156-164
5. 윤세한, 「건축설계 업계의 미래 전망과 대책」, 대한건축학회지, v.50 n.7, 2006-07, pp.40-43
6. 윤여진, 김동현, 「지능형 객체정보 설계도구(BIM) 도입에 따른 설계사무소 설계조직의 변화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계획계), v.24 n.6, 2008-06, pp.11-18
7. 이종식, 전재열, 「중소규모 건축 및 엔지니어링 업역간 협업설계를 위한 전문가 참여지원시스템 프로세스 구축」, 대한건축학회 논문집(계획계), v.25 n.06, 2009-06, pp.15-23
8. 전준기, 이준성, 신승우, 「설계조직의 프로젝트 수행역량 평가를 위한 측정항목 및 관리영역 도출」, 대한건축학회 논문집(계획계), v.25 n.03, 2009-03, pp.77-85
9. 「월간건축사」, 대한건축사협회, 2005 - 2009
10. 「우리나라의 국민계정체계」, 한국은행, 2005
11.
http://www.sdi.re.kr/cityplan/public_html/menu.html 서울시정개발연구원
12.
http://webnet.oecd.org/wbos/ 경제개발협력기구(OECD)
13.
http://www.mltm.go.kr/USR/statistics/m_53/mng.jsp?id=14, 국토해양부
14.
http://stat.mltm.go.kr/annual/report.jsp, 국토해양통계누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