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onomad

지루함(boredom)의 역설, aoa의 건축 (2017-11-24) 지루함(boredom)의 역설, aoa의 건축 『제10회 젊은 건축가상 2017』, 시공문화사, 2017, pp.15-29. 각종 행사로 한국건축계가 분주했던 9월 첫 토요일 오후 ‘문화역 서울284’를 찾았다. 전시가 막을 내리기 몇 시간 전이었다. 경성역사 귀빈실 분위기를 재현한 네모난 방에 올해의 젊은건축가 강제용과 전종우(IDÉEAA), 국형걸(HG-Architecture), 서재원과 이의행(aoa architects)의 작업이 마지막 관람객들을 기다리고 있었다. 심사위원들의 의도였는지 우연한 결과였는지, 세 건축사무소의 개성과 색깔이 전시에서 뚜렷하게 드러났다. 유클리드기하학과 파라메트릭의 경계를 넘나드는 국형걸의 작업과, 공공성을 실천하고 있는 이데아의 크고 작은 공공건축물 사이에, 에이오에이.. 더보기
Gangnam, Architectural Laboratory of Seoul (2017-09-03) 강남, 서울건축의 실험장 Gangnam, Architectural Laboratory of Seoul 『자율진화도시』, UIA 2017 서울세계건축대회 기념전, 서울시립미술관, 2016, pp.119-123. 강남을 서울보다 더 유명하게 만들었던 ‘싸이’의 ‘강남 스타일’은 정작 강남의 속살을 보여주지 않는다. 한강둔치나 놀이공원과 같은 강남을 둘러싼 주변부, 혹은 주차장, 테니스장, 체육관처럼 지하와 실내공간이 배경으로 등장할 뿐이다. 게다가 마구간, 사우나, 묻지마 관광버스 안에서 벌어지는 춤판을 편집한 영상에서 외부인들은 강남이 어떤 곳인지 가늠하기 쉽지 않다. 그들의 눈에 비친 강남스타일은 세련됨보다는 가식을 조롱하는 의도된 촌스러움이다. 그 배경인 도시건축은 명품과 키치의 잡종에 가깝다. 그럼에.. 더보기
Why the FAR Game? 왜 용적률 게임인가? (2016.5.1) Why the FAR (Floor Area Ratio) Game? 왜 용적률 게임인가? The FAR Game: Constraints Sparking Creativity 용적률(容積率)게임: 창의성을 촉발하는 제약(制約) One the Korean Front Line 한국의 전선(戰線)에서 Of the few dozen articles on architecture and urbanism I have contributed to the Korea Joongang Daily, it was the one entitled “The FAR Game” that received the biggest response from readers. While FAR (Floor Area Ratio) appears to be t.. 더보기
The FAR Game: Constraints Sparking Creativity 용적률 게임: 창의성을 촉발하는 제약 The FAR Game: Constraints Sparking Creativity 용적률(容積率)게임: 창의성을 촉발하는 제약(制約) One the Korean Front Line 한국의 전선(戰線)에서 The Korean Pavilion, Biennale Architettura 2016, La Biennale di Venezia By Sung Hong KIM, Eungee CINN, Keehyun AHN, Seungbum KIM, Isak CHUNG, Da Eun JEONG, Richard Enos The front line of the architectural battles waged in Korea inexorably runs through its capital city of Seoul. Korea.. 더보기
한국의 건축운동, 어떻게 볼 것인가 (2013.12) 한국의 건축운동, 어떻게 볼 것인가 계간『건축과 사회』, 2013 특별호, 제25호, 「특집 한국 현대건축 운동의 흐름」, 2013. 12, p.10-27. 특집 ‘한국 현대건축 운동의 흐름’은 우연한 계기에서 시작되었다. 2013년 초 새건축사협의회(약칭 새건협) 회의가 끝나고 뒤풀이를 하던 자리였다. 모두들 약간의 취기가 오른 가운데 건축 운동에 몸 담았던 선배, 동료 건축인들의 기억이 희미해지기 전에 기록물을 만드는 것이 어떠냐는 말이 안주삼아 나왔다. 테이블 멤버가 이리 저리 바뀌는 가운데 『건축과 사회』의 특집으로 만들어보면 좋겠다는 분위기로 옮겨갔다. 새건협의 기관지인 『건축과 사회』는 학술 논문집과 건축 잡지 사이의 공백지대에서 건축의 사회적 역할을 다루는 계간지로 자리매김을 했음에도 불구하..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