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김성홍 건축 도시

길모퉁이 건축 : 건설한국을 넘어서는 희망의 중간건축 (2011.11.5 출간) * 선정 2011 올해의 책 왜 우리 도시는 이렇게 차갑고 숨 막히는가? 길모퉁이에 삶과 경제, 문화가 공존하는 건축을 짓자! 개발과 성장의 ‘건설 신화’, 치장과 과잉의 ‘디자인 경제주의’를 넘어 사람과 문화를 품는 도시 건축을 만들어가는 구체적인 대안 YouTube http://www.youtube.com/watch?v=9pkltiExg4A 오랜 현장 탐사, 너른 인문적 탐구, 균형 잡힌 시각으로 지은 건축인문학 역작! “한국 건축은 지금 심한 몸살을 앓고 있다. 한국 경제를 떠받쳐 오던 건설신화가 서서히 걷히면서 경제의 양극화와 함께 건축에서도 역시 양극화가 진행되고 있다. 경제양극화가 중산층을 붕괴시키듯 건축의 양극화는 도시의 중간지대를 질식시킨다. 골목길은 재개발을 기다리고, 허름한 소규모의 건.. 더보기
공공건축, 시민의 품격이다 (2011.10) 공공건축, 시민의 품격이다 중앙일보, 2011.10.18, 오피니언, [삶의 향기] http://joongang.joinsmsn.com/article/627/6441627.html 몇 년 전 직항로가 열리면서 핀란드의 수도 헬싱키는 한국에서 가장 가까운 유럽의 관문이 되었다. 시벨리우스가 작곡한 ‘핀란디아’의 배경이었던 호수와 숲, 세계 휴대폰 시장을 장악했던 노키아가 떠오를 뿐, 발트 해 끝자락에 있는 핀란드는 우리에게 아주 먼 나라였다. 그런데 핀란드에는 시벨리우스와 노키아 못지않게 온 국민이 자랑하는 알바 알토라는 건축가가 있었다. 길거리 누구에게 물어도 알고 있는, 우리나라의 이순신 장군쯤 되는 사람이다. 알토를 국제적 반열에 올린 작품은 시청사, 도서관, 공립병원, 공립대학, 음악당, 연금공단,.. 더보기
평양 류경호텔 보셨나요 (2011.09) 평양 류경호텔 보셨나요 중앙일보, 2011.9.20, 오피니언, [삶의 향기] http://joongang.joinsmsn.com/article/444/6226444.html 이번 추석 연휴 중에 초3 딸과 아침 일찍 과천 국립현대미술관 나들이에 나섰다. 마침 이 열리고 있었는데, 을 수상한 16인의 젊은 작가의 작품에서 21세기 현대 미술의 흐름을 읽을 수 있었다. 특히 도시와 건축을 소재로 다룬 것이 많아 반갑고 신선했다. 그 중에서도 니콜라 물랭(Nicolas Moulin)의 20분짜리 영상은 오랫동안 잔상에 남는다. 새벽인지 저녁인지 분간하기 어려운 어두움을 헤치고 허름한 트렌치코트를 입고 마스크를 쓴 남자가 언덕을 올라간다. 이윽고 언덕 너머로 우뚝 솟은 삼각형 건물이 나타난다. 범죄나 공포 영.. 더보기
우리 도시 속 이방공간 (2011, 가을) 우리 도시 속 이방공간 문화/과학 67, 문화이론전문지, 2011 가을, 문화과학사, 247-259쪽 도시는 힘 있는 몇 사람의 정치인, 관료, 도시계획가, 건축가가 만든 ‘작품’이 아니라, 사람들이 살았던 오랜 ‘궤적’이며, 살고 있는 ‘현장’이다. 일단 만들어진 길과 집은 쉽게 변하지 않는 관성을 획득한다. 우린 사람의 수명보다 짧은 아파트를 허물고 새로 짓지만 그 흔적은 쉽게 지워지지 않는다. 서울의 사대문 안에는 조선시대의 집들은 거의 사라졌지만 길과 집터는 아직 남아있다. 그러나 발전이 어떤 임계점에 다다르거나 새로운 동력이 생기면 도시는 빠른 속도로 변화한다. 옛것 위에 새것이 겹쳐지기도 하고 이질적인 것들이 부딪치기도 한다. 그래서 서양 이론가들은 도시를 ‘펠림세스트’palimpsest라는 .. 더보기
역사를 통해, 현실을 읽고, 미래를 본다 역사를 통해, 현실을 읽고, 미래를 본다. 김성홍 건축 도시 연구실 서울시립대학교 건축․도시 공간과 이에 담긴 사회․문화 현상을 관찰하고 해석한다. 건축이론과 역사에서 주류를 이루는 조형예술론, 작가론, 기능주의, 기술효용주의, 통시적 역사관이 미치지 못하는 중간지대에서 도시 건축의 새로운 대안을 찾는다. 한국 근현대건축에 내재하는 집합적 건축․도시 모폴로지를 연구하고 이를 통하여 건축의 공공성을 모색한다. 연구실의 팀워크를 통해 건축․도시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이론과 연구를 현장으로 연결한다. 02504 서울시 동대문구 서울시립대로 163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 건축학부 02-6490-2774/ 02-6490-2749 (Fax) shkim@uos.ac.kr http://sonomad.tistory.com 더보기
김성홍, 서울시립대 건축학부 교수, Sung Hong Kim 김성홍 서울시립대 건축학부 Sung Hong KIM, Architecture and Urbanism, University of Seoul 한양대(건축공학사), 버클리대(M.Arch), 조지아텍(Ph.D)에서 공부했고, 서울시립대 건축학부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2006년 워싱턴주립대 풀브라이트 연구교수, 2007~2009년 서울시립대 기획연구처장 겸 산학협력단장을 지냈다. 2007~2010년 프랑크푸르트, 베를린, 탈린, 바르셀로나, 한국 국립현대미술관에서 열린 을 기획했고, 2016년 베니스비엔날레 건축전 한국관, 의 예술감독을 맡았다. 주요 저서로 『Megacity Network』 (2007), 『도시 건축의 새로운 상상력』, (2009), 『On Asian Streets and Public Spac.. 더보기
건축도시연구실 일반대학원 (석사)윤한섭 (2001). 테헤란로 고층사무소 건축의 저층부에서 나타나는 공공공간에 관한 연구.김종문 (2001). 수료장용태 (2002). 日帝强占期 南大門路 일대의 백화점 건축에 관한 연구. 양행용 (2003). 1970-80년대 서울의 아파트단지 노선상가에 관한 연구.채호경 (2003). 개항이후 인천 청국조계지의 주택 및 상업 건축에 관한 연구.김기성 (2003). 1890-1910년대 천주교 교회의 도시건축적 특성에 관한 연구. 김승희 (2004). 1920~40년대 경성역사(京城驛舍) 건축에 관한 연구. 설정임 (2004). 서울도심의 복합영화관 건축에 관한 연구. 정석현 (2005). 조선은행건축의 내외부공간구성에 관한 연구.방세환 (2006). 2000년대 이후의 수도권 주상복.. 더보기
Sung Hong KIM, Architecture and Urbanism, University of Seoul Sung Hong Kim is a professor of architecture and urbanism at the University of Seoul. He studied architecture at Hanyang University in Seoul (M. S.),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at Berkeley (M. Arch.), and Georgia Tech in Atlanta (Ph. D.). He was a Fulbright Visiting Scholar at the University of Washington in 2006 and Provost of the Planning and Research Office at the University of Seoul from 2.. 더보기
Publications & Articles BOOKS 2016.5 “The FAR Game: Constraints Sparking Creativity” with Eungee CINN, Keehyun AHN, Seungbum KIM, Isak CHUNG, Da Eun JEONG, and Richard Enos, SPACE Books. 2013 EASTERN PROMISES. Contemporary Architecture and Spatial Practices in East Asia, edited by Christoph Thun-Hohenstein, Andreas Fogarasi and Christian Teckert, with essays, project descriptions as well as research material on the reg.. 더보기
Architecture & Urban Lab KIM Sung Hong Architecture & Urban Lab Department of Architecture University of Seoul Through the observation and interpretation of social and cultural phenomena in architectural and urban space, the Laboratory maintains a critical position against the theories based on the plastic arts, individual authorship, functionalism, and techno-efficiency. As an alterative to these theories, the Laborato.. 더보기